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똑똑 우리말] 자정과 0시/오명숙 어문부장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0-02-13 02:01 똑똑 우리말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자정(子正). 저문 날의 끝인 ‘밤 12시’일까, 밝는 날의 시작인 ‘0시’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자정이 “자시(子時)의 한가운데. 밤 열두 시를 이른다”고 돼 있다. ‘그날 밤’으로 인식하게 하는 풀이다. 한데 ‘훈민정음 국어사전’에는 ‘밤 12시’가 아닌 ‘0시’라고 돼 있다. 새날의 시작을 의미한다.

사전마저도 ‘밤 12시’와 ‘0시’로 다르게 풀이해 놓을 정도로 ‘자정’은 적지 않은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일상에서야 불편할 게 없다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크게 오해를 낳을 수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기세가 꺾일 줄 모르는 가운데, 정부는 지난 4일부터 14일 이내에 중국 후베이성을 다녀온 외국인들의 입국을 전면 금지했다. 모든 언론 매체가 이 소식을 발빠르게 전했다.

그런데 같은 사실을 전하면서도 자정을 ‘밤 12시’로 보는 쪽에서는 ‘3일 자정’으로, ‘0시’로 보는 쪽에서는 ‘4일 자정’으로 알렸다. 자정을 ‘밤 12시’로 보는 독자들에게는 하루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혼란을 피하기 위해 ‘4일 0시’라고 한 곳들도 있다.

엄밀히 말하면 자정은 새로운 날의 시작을 가리키는 ‘0시’로 보는 게 정확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도 “시간을 가리키는 말에 오정(午正)과 자정(子正)이 있는데 오정은 낮 12시, 자정은 0시 정각”이라고 풀이돼 있다.

oms30@seoul.co.kr
2020-02-13 29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