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도시재생의 실마리, 문화유산

[한필원의 골목길 통신] 도시재생의 실마리, 문화유산

정영애 기자
입력 2019-01-27 17:24
업데이트 2019-01-28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말이 부쩍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린다. 도시재생이란 오래돼 퇴락하고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도시 구역을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되살리는 지속가능한 개발 방식이다. 이렇게 목표가 타당하고 뚜렷함에도 그 방법론은 모호하기만 하다. 그래서 전국 곳곳에서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본격화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지금 이렇게 하다가는 말만 재생이지 결과는 재개발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시재생 대상 지구는 대개 반세기 이전에 조성된 곳이어서 그곳 어딘가에는 오래된 건물이나 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장소, 곧 문화유산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문화유산은 도시가 오늘날처럼 상업화되고 번잡해지리라고 예상하지 못한 시기에 만들어졌기에 새로운 도시 여건에 부합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도시로서도 난감하긴 마찬가지일 터이다. 오래되고 허약한 건물이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떡하니 버티고 있으니 말이다. 결국 도시재생이란 문화유산과 도시가 오랜 시간의 간극을 극복하고 자연스럽게 만나게 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화재만 달랑 남기거나 법으로 보호받는 문화유산이 아니면 그마저도 없애 버리는 재개발과는 근본부터 다르다. 이런 의미에서 도시재생이 성공하려면 문화유산과 그 맥락을 철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반대로 그것에서 방향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사례를 잘 보여 주는 곳이 아인슈타인이 태어난 도시 독일의 울름이다. 이 도시의 중앙인 시청 부근에는 울름대성당이 높이 솟아 도시의 정체를 말해 준다. 가톨릭 주교좌가 아닌 개신교회임에도 흔히 대성당이라 불리는 이 문화유산은 1377년에 착공했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1890년에야 완성됐다. 첨탑까지 높이가 161.5미터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성가족성당이 지어지기 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교회 건물이었다. 울름대성당은 긴 역사와 높이만이 아니라 아름다운 인테리어로도 유명한데, 특히 수백명의 흉상이 조각된 15세기의 장식적인 성가대석은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한동안 울름대성당과 그 앞 광장은 2차 세계대전의 폭격 뒤에 조성된 상업적인 도심과 어색한 관계를 유지했다. 오늘날 도시 인구가 만 명에 불과했던 시절에 지어진 이 문화유산이 인구가 그 열 배가 넘는 현대 도시의 도심과 원만하게 만날 수 있는 것은 1993년 교회 앞 광장 가장자리에 지어진 울름 슈타트하우스 덕분이다.

이 프로젝트의 설계를 맡은 미국의 유명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는 울름대성당의 네 기둥이 만들어 내는 공간, 곧 베이의 모양과 치수를 그대로 반복하는 격자를 바탕으로 건물 형태와 광장의 바닥 패턴을 디자인했다. 지붕은 길가의 오래된 건물들과 같이 박공 형태를 반복했다. 그 결과 이 현대 건물은 주변과 어울릴 뿐 아니라 대성당을 바라보는 시각의 틀을 만들어 냄과 동시에 그것이 현대 도시의 상업가로와 자연스럽게 만나도록 주선함으로써 도시의 환경을 보완하고 개선했다. 건물의 프로그램도 문화유산에서 도출했다. 지하는 교회 광장의 고고학 자료와 역사를 전시하는 상설전시장이고, 지상에는 방문자센터와 전시장, 강당 등 현대의 도시 기능을 담음으로써 명실상부하게 신구가 공존하는 건축이 탄생했다. 울름 슈타트하우스가 도시를 다시 살리는 건축의 상징이 된 것은 이렇게 주변의 문화유산에서 해법의 실마리를 찾아 그 지역의 프로그램과 문화적 의미를 보완하고 강화했기 때문이다.

도시재생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하려 애쓰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 그러나 성공적인 도시재생에서 산뜻한 아이디어보다 먼저 필요한 것은 문화유산을 출발점이자 참조점으로 삼는 태도가 아닐까 한다.
2019-01-28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