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빨라지는 비핵화시계… 다시 뜨는 ‘북·미 교차보증인’ 文 역할론

빨라지는 비핵화시계… 다시 뜨는 ‘북·미 교차보증인’ 文 역할론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9-01-08 22:28
업데이트 2019-01-09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 북·미정상회담, 1차 때보다 험로 예상

구체적 비핵화 로드맵 도출 ‘산 넘어 산’
“美엔 비핵화, 北엔 체제보장 보증 역할”
북·미 공통 신뢰받는 ‘文 중재력’ 절실
평양 출발하는 김정은… 김여정도 동행
평양 출발하는 김정은… 김여정도 동행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중국 방문을 위해 평양을 출발했다고 8일 북한 조선중앙TV가 보도한 가운데 공개된 영상에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빨간 선)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동행한 모습이 포착됐다.
연합뉴스
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격 방중으로 비핵화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실질적인 핵 담판이 이뤄질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장소를 놓고 양측이 교집합을 찾아가는 가운데 김 위원장이 최종 조율을 위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찾아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이자 북·미 대화의 ‘촉진자’인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된 지난해 6·12 북·미 정상회담은 아찔한 순간의 연속이었다. 만남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 비핵화 로드맵을 도출해야 하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은 1차 때보다 험로가 예상된다. 고비마다 북·미 정상이 공통적으로 신뢰하는 유일한 상대인 문 대통령의 중재력이 절실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 이후 남북 간 특사 교환 또는 고위급회담 등을 추진하는 게 있는가’란 질문에 대해 “현재로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하지만 협상테이블이 흔들리면 북·미 양측은 언제든 문 대통령에게 ‘구원등판’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회담이 채 20일도 안 남은 지난해 5월 2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을 걷어찼을 때 불과 이틀 만에 2차 남북 정상회담을 갖고 불씨를 되살린 것도 문 대통령이었다. 6월 1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개최를 확인하면서 세계는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지난해 11월 북·미 고위급회담이 무산된 뒤 양측이 추가 비핵화 조치와 상응조치를 놓고 기싸움을 벌일 때도 문 대통령은 ‘심폐소생술’에 나섰다. 12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끌어내고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공표하게 만들었다.

지난 연말 김 위원장도 친서를 통해 “2019년에도 문 대통령과 자주 만나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논의를 진척시키고 한반도 비핵화 문제도 함께 해결해 나갈 용의가 있다”고 화답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2차 정상회담 장소에 관해 협상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발표될 것”이라고 공개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문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주도적인 중재 역할은 물론 미국에 대해서는 북한의 비핵화 보증을, 북한에 대해서는 미국의 체제 보장과 대북 제재 완화를 보증하는 ‘교차 보증인’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큰 흐름에서 보면 비핵화 협상은 아직 첫걸음만 뗀 상태인 만큼 지속적으로 간극을 좁히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그런 맥락에서 김 위원장이나 트럼프 대통령을 끊임없이 설득해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01-09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