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빛·미세전류로 뇌·신경계 질환 치료한다

빛·미세전류로 뇌·신경계 질환 치료한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9-01-02 17:32
업데이트 2019-01-03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大 등 공동연구팀 ‘네이처’ 발표…광유전학 연구팀에 한국인 9명도 참여

생쥐에 바이오 광전자시스템 삽입해
조절기능 잃은 방광에 빛 흘려 정상작동
파킨슨병 등 뇌질환 치료 기술도 개발
이미지 확대
두개골 바깥쪽에 장착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뇌의 64개 부위에서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발작이나 이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UC버클리) 제공
두개골 바깥쪽에 장착되는 미세전류 발생장치는 뇌의 64개 부위에서 나타나는 전기적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발작이나 이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UC버클리) 제공
현대 과학기술은 가장 작은 미립자의 세계부터 그 끝을 상상할 수 없는 광대한 우주까지 감춰진 비밀을 밝혀내고 있다. 그렇지만 ‘뇌’와 ‘신경계’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처럼 말이다.
이미지 확대
방광 기능 장애를 가진 생쥐에게 장착시킨 광유전학 장치. 미국 일리노이대 제공
방광 기능 장애를 가진 생쥐에게 장착시킨 광유전학 장치.
미국 일리노이대 제공
이미지 확대
부드럽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광유전학 장치를 장착한 생쥐는 정상적인 방광기능을 갖게 됐다. 체중 증가나 이상 행동 등 광유전학적 장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대의대 제공
부드럽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광유전학 장치를 장착한 생쥐는 정상적인 방광기능을 갖게 됐다. 체중 증가나 이상 행동 등 광유전학적 장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대의대 제공
연구자들은 몇 년 전부터 ‘광유전학’이라는 새로운 도구로 뇌가 어떤 일을 하고 기억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각종 뇌 신경계 질환은 어떻게 발생하는지 등의 비밀에 한 발짝씩 다가가고 있다.

광유전학(optpgenetics)은 빛(opto)과 유전학(genetics)을 결합한 용어로 뇌 신경세포를 빛에 반응할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조작한 뒤 세포의 생리를 연구하는 분야다. 광유전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인간 수명이 늘어나면서 뇌와 신경계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미주리주 워싱턴대 의대, 일리노이대, 중국 베이징항공항천대 등 공동연구팀은 광유전학과 생체 전기자극을 통해 신경활동을 제어하는 바이오 전자 시스템을 만들어 방광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3일자에 발표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는 미국에서 연구 중인 한국인 과학자가 9명이나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암컷 생쥐에게 약물을 주입해 방광의 조절기능을 상실하도록 만들었다. 사람으로 치면 요실금 증상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은 체내에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을 이용해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발광다이오드(LED), 전력공급용 무선장치,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가 하나로 구성된 바이오 광전자시스템을 생쥐에게 삽입했다. 방광에서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삽입된 장치가 빛과 미세전류를 흘려 방광이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방광 부근에 장치를 삽입한 생쥐는 방광조절기능상실 약물이 주입되더라도 방광이 일반 생쥐처럼 정상 작동하는 것이 확인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UC버클리)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과 연구팀도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신경질환이나 뇌전증 같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고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치료기술을 개발해 생체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지난해 12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WAND’란 장치는 뇌의 128개 부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면서 비정상적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차단하거나 줄일 수도 있다. 실제로 히말라야 원숭이의 머리에 이 장치를 부착한 뒤 팔과 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관계자는 “최근 들어 뇌과학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광유전학과 미세전기자극 기술이 결합돼 뇌신경질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며 “특히 광유전학 기술은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우울증, 불면증, 강박증, 기억상실, 거식증 등의 원인과 치료법 개발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9-01-03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