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스 분석] 비핵화 재담판·플랜B, 동시에 꺼낸 김정은

[뉴스 분석] 비핵화 재담판·플랜B, 동시에 꺼낸 김정은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9-01-01 22:58
업데이트 2019-01-02 0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신년사, 북미협상 돌파구 될까

“언제든 마주 앉을 준비… 오판시 새 길”
2차 북·미회담 진전·美 상응조치 압박
“한반도 평화 위한 다자협상도 적극 추진”
비핵화 협상 진전땐 서울 답방 당겨질 듯
트럼프·시진핑처럼…집무실 소파에 앉아서 신년사 발표
트럼프·시진핑처럼…집무실 소파에 앉아서 신년사 발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일 평양 노동당 중앙위원회 청사에서 새해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신년사를 조선중앙TV를 통해 발표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과거와 달리 연단에 서서 신년사를 읽지 않고 소파에 앉아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정면을 응시하며 신년사를 시작해 눈길을 모았다. 김 위원장 뒤쪽으로 왼편에 김일성 주석, 오른편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진이 보인다.
연합뉴스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새해 첫날인 1일 미국을 향해 ‘러브콜’과 ‘경고’를 동시에 제시하면서 대북 제재 해제 등 적극적인 관계 개선을 압박하고 나섰다.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비핵화 노력에 대한 미국의 상응 조치가 없다면 대화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우리는 조·미(북·미) 두 나라 사이의 불미스러운 과거사를 계속 고집하며 떠안고 갈 의사가 없으며 하루빨리 과거를 매듭짓고 새로운 관계 수립을 향해 나아갈 용의가 있다”고 했다. 특히 “나는 지난해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유익한 회담을 하면서 건설적인 의견을 나누었으며 서로가 안고 있는 우려와 뒤엉킨 문제 해결의 빠른 방도에 대하여 인식을 같이했다”면서 “앞으로도 언제든 또다시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되어 있으며 반드시 국제사회가 환영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김 위원장은 “다만 미국이 세계 앞에서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우리 인민의 인내심을 오판하면서 일방적으로 그 무엇을 강요하려 들고 공화국에 대한 제재와 압박으로 나간다면 우리로서도 어쩔 수 없이 부득불 자주권과 국가의 최고이익을 수호하고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룩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의 “새로운 길 모색” 발언에 대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최악의 경우 북한이 경제·핵 병진노선으로 돌아갈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 김 위원장이 지난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천명한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 제안에 대해 미국이 상응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는 데 대한 북한 내부의 불만을 반영한 발언이라는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는 김 위원장의 본심이 ‘과거로의 회귀’보다는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정 본부장은 “김 위원장의 신년사는 어디까지나 미국과의 대화와 공정한 협상에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에 핵·경제 병진노선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매우 낮다”며 “미국이 어떠한 상응 조치를 취할지 계속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북한 내부에서 병진노선으로의 회귀 가능성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계속 나올 것”이라고 했다. 정 본부장은 “북한이 이미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 카드를 제시한 상황에서 북한에 또 다른 추가 카드를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며 “지금 상황에서는 김 위원장의 답방이나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추진보다는 한·미가 ‘상응 조치’ 카드를 신속히 마련해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신년사를 보면 김 위원장이 연내에 미국과 영사급 또는 대사급 관계를 수립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는 것을 읽을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강한 신뢰도 보여 줌으로써 협상의 틀을 강고하게 유지하겠다는 의사도 표명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다만 미국이 신뢰를 주지 않는다면 플랜B로 갈 수밖에 없다는 의미에서 수세적 배수진을 친 것”이라고 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새로운 길 모색’이라는 위협적 메시지가 있으나, ‘어쩔 수 없이 부득불’이라는 동어반복과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어색한 표현을 사용하는 등 완곡한 표현 방식을 쓴 것으로 볼 때 강경과 온건 사이에서의 김 위원장의 고민을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희망대로 비핵화 협상 진전에 따른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된다면 지난해 무산된 서울 답방이 선행될 가능성이 높다.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날 중앙당 단배식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올해 아마 일찍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1-02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