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영선 “합의추대는 강한야당, 경선은 젊은야당…일장일단”

박영선 “합의추대는 강한야당, 경선은 젊은야당…일장일단”

입력 2016-04-22 07:13
업데이트 2016-04-22 0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불어민주당 박영선(서울 구로을) 전 원내대표는 22일 “차기 당 대표 합의추대론은 강한 야당을 만들자는 분들의 의지이고 경선을 통한 전당대회를 하자는 건 젊은 정당을 만들자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이 두 가지가 다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4·13 총선에서 당선, 4선 고지에 오른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차기 당권 결정 방식과 관련, “민주적 정당에서는 경선을 통해 전대를 하는 게 원칙이지만, 합의추대와 경선을 통한 전대가 일장일단이 있다”며 택일을 유보했다.

다만 “합의추대하는 경우에는 ‘왜’에 대한 설명이 더 필요하다”며 “좀더 상황을 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자신의 당권 도전 여부에 대해선 “전대를 한다면 한번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특히 박 전 원내대표는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의 관계를 ‘견제와 협력’으로 규정, “김 대표가 대선까지 이 당을 관리한다고 가정을 하더라도 공정한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한쪽으로 기울면 안된다”며 “그런 부분에서 두 분이 잘 알아서 하실 걸로 본다”고 언급했다.

그 연장선 상에서 김 대표에 대한 합의추대 논란과 관련, 문 전 대표가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는 당 일각의 견해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차기 당 대표는 내년도 수권정당이 되기 위한 대선후보를 만드는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며 “문 전 대표도 우리 당의 소중한 대권후보 중의 한 분 인만큼, 공정의 원칙에 있어 이 문제에까지 개입하게 되면 다른 대권주자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며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그렇게 하면 인위적으로 보일 수 있으며, ‘문재인=김종인’이라는 등식이 성립돼버리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의 취임 후 성과에 대해선 “경제민주화란 브랜드를 갖고 한쪽으로 수렴하는데 굉장히 많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김 대표의 킹메이커론과 관련, “일정부분 영향이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당내 중도 성향 중진급 모임인 ‘통합행동’ 소속인 박 전 원내대표는 통합행동의 역할론을 “당의 쏠림현상이 있을 때 바로 잡아주는 균형추”로 표현한 뒤 세대교체론에 대해 “일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은 이번 패배로 상대적으로 세대교체가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우리 당이 그 부분을 간과한다면 또 한발 늦어지는 형국이 된다.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권을 위한 당의 변화방향에 대해선 “제가 원내대표, 비대위원장 할 때 ‘민주당 60년 전통만 빼고 다 바꿔야 한다’며 추진했던 외연확장 방향이 틀리진 않았다”며 “지금은 변화의 과정에 있다. 수권정당이 되려면 신뢰를 주는 정당이 되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밝혔다.

수권정당이 되는데 제거해야 할 걸림돌에 대해 묻자 “과거에 너무 천착하는 것”이라며 “민주주의를 일궈낸 당이라는 자부심에 더해 국민이 요구하는 ‘+α’를 보여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계파 패권주의가 완전히 해소됐다고 보기는 힘들다. 잠복한 상태”라며 “김 대표가 영입됐을 때 환영일색이던 그룹들이 지금은 사안이 터질 때마다 이해관계에 얽혀 계속 목소리를 내고 있질 않나”라고 반문했다.

문 전 대표의 최근 행보에 관해선 “‘호남 발언’은 안하셨으면 참 좋았을 것 같다”며 “문 전 대표에 대해 우호적이냐 아니냐에 따라, 보는 사람마다 의견이 갈리는데, 결과적으로 문 전 대표가 소신과 원칙을 갖고 행보를 하는 수밖에 없지 않나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