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13 총선] 당·청관계 악화 -쟁점법안 동력 약화될 듯

[4·13 총선] 당·청관계 악화 -쟁점법안 동력 약화될 듯

이지운 기자
입력 2016-04-14 01:36
업데이트 2016-04-14 0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격의 靑’ 국정 운영 방향은

黨 ‘선거 책임론’ 확산땐 큰 부담
선제·적극적 관계 정립 예상
경제·외교·안보 기조 변화 요구
‘선택·집중’ 전략으로 대응 관측

청와대는 큰 충격에 빠졌다. ‘과반을 잃더라도 협업이 원활한 여당이 낫다’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13일 막상 선거 결과를 접하자 ‘이렇게까지…’라는 반응들을 보였다. 총선 이후의 국정 운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일인 13일 오전 청와대 인근 서울 종로구 청운동 서울농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기표를 마친 뒤 투표함으로 향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일인 13일 오전 청와대 인근 서울 종로구 청운동 서울농학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기표를 마친 뒤 투표함으로 향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우선 걱정은 새누리당이다. 임기를 1년 10개월가량 남겨두고 국정 운영을 막바지까지 안정적으로 뒷받침해 줄 강력한 집권 여당을 바랐으나 현실화되지 못했다. 도리어 선거 책임론으로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오는 7월로 예상되는 당대표 선거는 당의 분란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친박(친박근혜)·비박계 간의 대립이 이번 선거 결과의 핵심 원인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에 청와대도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자칫 당·청 관계가 심각하게 손상될 수도 있다. 중진 의원 대부분이 비박이라는 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초선들도 늘어나 이래저래 당과 손발 맞춰 일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의원들과의 관계 정립을 위해 청와대가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나오는 상황도 예상해 볼 수 있다.

새누리당이 벌일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 작업에도 청와대가 필요할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든 관계 회복을 바라는 청와대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이 이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내 비박계의 입지를 강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감수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20대 국회 초반 여당과의 관계 형성이 레임덕(권력누수) 논란을 좌우할 수 있다.

일여다야(一與多野)라는 구도 변화에도 적응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올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에 대한 질문을 받고 “거기에 맞춰서 또 관계가 정립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야권은 이번 선거는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라며 초반부터 거센 공세로 나올 개연성이 크다. 선거 결과를 ‘정권 심판론’, ‘경제 심판론’으로 연결 지으려 하고 있다. 경제정책이나 외교·안보 기조에 대해서도 변화를 요구하고 나올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사안별로 정책 연대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안철수 공동대표는 선거 전에도 일부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 여당의 정책을 지지했다. 노동4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쟁점 법안들에 대한 처리를 강하게 요구하며 국회를 압박하던 청와대의 전략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선택과 집중’을 채택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는 그래도 40% 전후로 유지되고 있는 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에 위안을 삼고 있다.

상당한 수준의 지지율은 당·청 관계에도, 대야 관계에도 상당한 힘이 될 수 있다. 특히 빠르게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 여당에 일정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낮은 대통령의 지지율은 정권 막판 당·청 관계를 역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지지율을 기반으로 박 대통령은 사안에 따라 지금껏처럼 국민들에게 직접 호소하는 방식을 유지할 가능성도 상당하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6-04-14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