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출입문 옆 눈높이… 벽에 쓴 비밀번호

출입문 옆 눈높이… 벽에 쓴 비밀번호

최훈진 기자
입력 2016-04-07 22:48
업데이트 2016-04-08 0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안의식 없는 정부서울청사

관리 편의 위해 공공연히 통용
사건 터지자 비번 서둘러 지워
청소 직원 관리도 용역에 의존


“보통 사무실 도어록(출입문) 옆 벽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청소를 담당하시는 아주머니들에게 잘 보일 만한 높이에 연필로 비밀번호를 적어 놓은 게 있어요. 이번 일로 어젯밤에 벽면에 적어 놨던 숫자들을 지웠는데, 워낙 작게 써 놓다 보니 ‘이런 게 있었느냐’고 묻는 직원들도 있더라고요.”

이미지 확대
정부서울청사 13층 브리핑실 도어록 옆 벽면에 적혀 있던 비밀번호를 사인펜으로 급히 지운 흔적.
정부서울청사 13층 브리핑실 도어록 옆 벽면에 적혀 있던 비밀번호를 사인펜으로 급히 지운 흔적.
이미지 확대
정부서울청사 15층 인사혁신처 사무실 벽면에 붙어 있던 도어록 비밀번호.
정부서울청사 15층 인사혁신처 사무실 벽면에 붙어 있던 도어록 비밀번호.
7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입주 기관인 한 부처 관계자에 따르면 사무실 도어록 비밀번호는 공무원시험 합격자 명단 조작 사건이 알려지기 전까지 사실상 공공연하게 통용되고 있었다. 이 부처 공무원들은 송모(26)씨가 도어록을 열고 들어간 경위에 큰 관심이 쏠리자 인사혁신처와 똑같이 해 오던 관행을 숨기고자 벽면에 적어 놨던 도어록 비밀번호를 전부 지웠다.

청사에 입주한 각 부처 공무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공무원들이 출근하기 전 청소를 마쳐야 하는 청소 담당 직원들은 도어록 옆 벽면에 적힌 비밀번호를 이용해 사무실을 드나든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경찰 조사 결과 송씨가 벽면에 적힌 도어록 비밀번호를 가장 먼저 확인한 곳은 16층 채용관리과가 아닌 다른 층 사무실이었다. 하지만 인사처는 지난 6일 “도어록 비밀번호는 해당 사무실 직원들만 아는데 송씨가 어떻게 도어록을 열고 들어갔는지 의문”이라며 시치미를 뗐다. 실제로 이날 정부서울청사 건물 일부엔 도어록 비밀번호가 지워진 흔적이 남아 있었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청소 직원들의 편의를 위해 그렇게 해 왔다”고 말했다. 국가중요시설 ‘가’급(최상급)으로 분류되는 정부서울청사의 보안보다 직원들의 편의를 우선시해 온 셈이다.

청사관리소가 청소 담당 직원들의 업무 매뉴얼을 직접 관리하지 않고 있는 것에서도 허술한 보안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정부서울청사의 청소 용역은 주식회사 영창이 맡고 있다. 조소연 서울청사관리소 소장은 “청사 자체 매뉴얼은 없고 용역 회사에서 자체 매뉴얼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개인용 컴퓨터(PC)에 3중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행태도 이번 사건을 통해 드러났다. 정부서울청사에서 근무하는 한 공무원은 “나를 비롯해 ‘시모스’(CMOS) 암호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신 중요한 문서에 대해서는 각자 알아서 암호를 거는 편”이라고 말했다. 인사처 정보화담당관실 관계자는 “윈도 로그인을 할 때 뜨는 암호는 누구나 사용하지만 컴퓨터 부팅 단계에서 사용하는 시모스 암호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수가 사용하지 않고 있다”며 “암호를 걸어야 하는 문서의 중요도에 대한 판단은 단말기(컴퓨터) 사용자 개개인에게 책임이 있으며 암호화하지 않았다고 해서 시정 조치를 요구받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청사 보안 강화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었다. 행자부, 인사처, 경찰청 등의 정부 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TF는 청사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 종합 대책을 다음달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신분증 대신 출입자 지문 대조 등과 같은 생체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4-08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