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명의 窓] 고통의 축복/이재무 시인

[생명의 窓] 고통의 축복/이재무 시인

입력 2016-04-01 18:14
업데이트 2016-04-02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뿌리 없으니 고통 없고/ 슬픔 없고 즐거움 없는/ 톱 오면 잘리고/ 도끼 오면 찍히고/ 못 오면 박히다가/ 불 오면 태워져/ 흔적 없이 사라지는 생/ 한때는 사철 생생한 생나무의/ 쭉쭉 뻗는 줄기와 가지로/ 마구 하늘을 찌르던 그들”(졸시, ‘통나무’)

거리를 활보하는, 찻집 의자에 앉아 담소 즐기는, 출퇴근 만원 버스와 전동차 안 무표정하게 창밖을 바라보거나, 술집에서 벌게진 얼굴로 계통 없이 장광설 늘어놓는, 미장원에서 염색 중인, 골목 시장이나 백화점에서 물건 사고파는, 도무지 통각을 모르는 인간 통나무들을 우리는 수시로 접하며 살고 있다.

고통만이 인간을 성숙시킨다. 오직 거대한 고통만이 영혼의 최종적인 해방자인 것이다(니체, ‘즐거운 지식’).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최대 공룡은 몸의 길이 18m, 높이 6m, 두개골 크기 개 정도가 되는데 다른 육식동물이 다리를 물면 아픔이 뇌까지 전달되는데 5분이 걸려 잡아먹히는 줄 모르는 상태로 잡아먹혔다 한다.

고통은 역설적인 의미에서 축복이다. 고통은 살아 있는 자의 존재 증명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죽은 자는 고통을 인지하지 못한다. 당뇨 말기 환자는 발가락이 썩어 들어 가는데도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그는 죽어 가고 있는 자이다. 우리는 고통에 예민할 필요가 있다. 무통은 죽음의 전조이기 때문이다. 살이 뭉개지고 뼈가 녹아나는데도 도무지 아플 줄 모르는 자가 있다면 그는 이미 삶의 궤도를 이탈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고통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고 고통의 손 발짓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통은 암시다. 고통은 충고이고 질책이다. 고통의 전언과 호소를 듣지 않으면 우리는 죽음을 면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처녀막 같은 고통에는 거짓이 없다. 우리가 슬픔을 감출 수 없는 것처럼 고통은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 고통의 발언은 정직하다.

“물에 있는 모든 것 중 너희의 먹을 만한 것은 이것이니 무릇 강과 바다와 다른 물에 있는 것 중에 지느러미와 비늘 있는 것은 너희가 먹되 무릇 물에서 동(動)하는 것과 무릇 물에서 사는 것 곧 무릇 강과 바다에 있는 것으로서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가증한 것이라.”(‘성경 구약 레위기 11장 9절, 10절’)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물고기는 세상 고통을 인지하지 못하는 물고기이다. 즉 흐르는 물결(타락한 세상)을 거스를 줄 모르는 물고기인 것이다. 이들은 동족과 더불어 살 줄 모르는 무통 환자로서의 물고기이다. 사람으로 치면 영혼이 죽은 자들이다.

재작년 세월호 참사가 벌어졌을 때 대다수 국민들은 유가족의 고통과 슬픔에 공유하여 동참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일부 정치인과 냉혈 인간들은 유가족을 조롱하고 능멸하는 태도를 서슴지 않았다. 그들이 타자의 고통에 둔감한 것은 그들의 영혼이 죽었기 때문이다.

고통은 개인에게는 어머니의 자궁처럼 위대한 창조의 근원이지만 이웃과 타자에게는 연대와 섞임의 표지이다. 우리는 살면서 크고 작은 고통을 경험한다. 고통은 인간 존재의 피할 수 없는 조건이다. 우리는 이러한 고통의 경험과 공유를 통해 성숙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고통은 삶의 거름과 같고, 전언한 것처럼 살아 있는 자의 축복과도 같은 것이다.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고통을 인지하지 못하는 무통 환자들이 늘고 있어 미래를 어둡게 한다. 니체의 말을 다시 인용하자면 “고통만이 인간을 성숙시킨다.” 고통을 피하지 말자.
2016-04-02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