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화와 설화로 본 한국인의 정체성

신화와 설화로 본 한국인의 정체성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1-21 17:58
업데이트 2016-01-21 18: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부터 창작극 ‘달빛 안갯길’ 무대에

‘신화와 설화는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닐까.’ ‘한국인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묵직한 두 주제를 파고든 연극이 대학로 무대에 오른다. 극단 한양레퍼토리의 창작극 ‘달빛 안갯길’이다. 역사를 다룬 시대극이나 중극장 규모 이상의 창작극을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가운데 나온 작품이어서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작품은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가 조선 역사를 왜곡, 날조하던 1920년대 중반 경북 영주 부석사를 무대로 전개된다. 민갑완과 그녀의 외삼촌 이기현, 조선인 청년 이선규, 전설 속 인물인 선묘가 극을 이끌어 나간다.

민갑완은 영친왕과 약혼했지만 일제에 의해 강제 파약되고 다른 사람과의 혼인을 강요받자 외삼촌과 함께 부석사로 향한다. 상하이 망명 기회를 엿보기 위해서다. 이들은 부석사에서 조선사편수회 일원으로 일본인 사학자 소키치와 함께 부석사 발굴 작업을 진행하는 이선규를 만난다. 이선규는 민갑완 일행을 만나면서 일본 사학자들에게 교육받은 역사관이 흔들린다. 이 땅의 신화와 설화의 역사적 가치를 깨닫고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간다.

선묘는 이 작품의 중추 역할을 한다. 선묘는 용이 돼 의상 대사를 수호한 인물로, 부석사에 얽힌 전설 중 하나다. 극작가 신은수는 “선묘는 민갑완이 절망을 딛고 상하이까지 멀고 험한 길을 갈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며 “극 중 민갑완처럼 신화와 설화는 그것이 실재했든 아니든 사람들에게 확신을 줘 목표로 향하게 하는 강한 힘이 된다”고 설명했다. 연출가 신동인은 “선묘 등 전설이 깃든 부석사를 배경으로 민갑완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등장시켰다”며 “역사와 설화의 결합을 통해 일본이 허구라 주장했던 삼국유사 등 우리의 신화와 설화가 갖는 역사적 가치를 되새겨 보고자 했다”고 말했다.

남명렬, 조연호, 김왕근, 임형택, 정원조 등 중견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한다. 오는 23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3만~5만원. (02)3668-0007.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1-22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