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점프 코리아 2010-G20시대를 열다] 콘텐츠 산업 육성하려면

[점프 코리아 2010-G20시대를 열다] 콘텐츠 산업 육성하려면

입력 2010-01-01 00:00
업데이트 2010-0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경부 등 관련부처 공조·대기업 지속투자 절실

전문가들은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 학계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산업 육성의 역사가 10년 안팎인 한국이 미국과 일본 등 콘텐츠 강국과 어깨를 나란히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바쁜 까닭이다.

이미지 확대
정부의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예산이 적다는 것은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 사항이다. 심상민 성신여대 교수는 “문화 콘텐츠 산업 관련 예산이 문화체육관광부 전체 예산의 1%를 갓 넘는 게 현실이다.”며 “특히 배정된 예산 대부분은 그래픽 산업이나 R&D와 같은 기술 예산이라 콘텐츠 산업으로 돌아오는 몫은 무척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콘텐츠 산업 육성이 문화부의 업무로만 인식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판단이다. 심 교수는 “콘텐츠 수출 장려와 반(反) 한류 문제를 모두 문화부의 영역이라고 생각해선 안된다.”면서 “특히 문화부는 비즈니스 영역이 취약해 자력으로 모든 걸 할 수 없다. 지식경제부와 외교부 등 관련 부처와의 공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업의 노력은 더욱 절실하다. 민간 영역에서 해외 글로벌 마케팅을 담당하는 주체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 서병문 단국대 교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의 대기업들은 글로벌화가 잘 돼 있지만 콘텐츠 산업은 주로 중소기업이 맡고 있어 해외 진출이 어렵다.”면서 “대기업들이 콘텐츠산업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발전의 근간이 마련된다.”고 조언했다.

금융업도 문화 콘텐츠의 가치를 인정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정민 한국창조산업연구소장은 “미국의 명감독 스티븐 스필버그가 드림웍스를 설립했을 때 ‘24편의 영화를 만들겠다.’는 말 한마디에 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 같았으면 꿈도 못꿨을 일”이라면서 “금융업 종사자들이 콘텐츠의 가치가 얼마나 큰 사업인지를 인식해 자금난에 허덕이는 중소 콘텐츠 사업자들에게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학계의 노력도 필요하다. 서 교수는 “현재 전국에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가 900개에 달하지만 대부분 기능공을 길러낼 뿐 창의적인 인재를 발굴하는 데 관심이 없다.”면서 “창의적인 콘텐츠 생산자를 육성해 낼 수 있는 학계의 노력이 필연적이다.”고 밝혔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1-01 3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