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살아남은 사람에게… 세월호는 아직 깊고 어두운 구멍

[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살아남은 사람에게… 세월호는 아직 깊고 어두운 구멍

입력 2021-04-15 17:28
업데이트 2021-04-16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홀/김홍모 글·그림 창비/316쪽/1만 7000원

‘파란바지 의인’ 김동수씨 증언 바탕
생존자들의 트라우마 섬세하게 그려
이미지 확대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맞는다. 노란 리본은 어느새 가방에서 사라졌고, 그래서겠지만 기억하겠다던 다짐도 희미해졌다. 진상은 여전히 베일에 가려 있고, 어떤 이들은 끝끝내 묻어 두자는 말만 되뇐다. 300명이 넘는 희생자들이 누군가의 기억 속에 여전하고,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으나 트라우마로 온전한 삶을 살지 못하는 생존자들이 우리 주변에서 숨죽이고 있으니, 세월호 참사는 현재진행형인데도 말이다.

만화가 김홍모의 ‘홀-어느 세월호 생존자 이야기’는 세월호 생존자의 트라우마를 섬세하게 그려 낸 작품이다. 세월호 참사 당시 학생 20여명을 구하며 일명 ‘파란 바지 의인’으로 불린 생존자 김동수씨의 증언이 토대가 됐다.

제주도에서 화물차 기사로 일하는 민용은 뭍에서 일을 끝내고 동료 기사들과 함께 4월 15일 밤 제주로 가는 세월호에 올랐다. 16일 오전 8시 49분 세월호는 갑자기 기울기 시작했고, 민용과 일행은 구명조끼를 갖춰 입고 갑판으로 뛰어올라 가려 했다. 그때 도움을 요청하는 어린 학생들의 다급한 외침이 들렸다. 직각으로 기운 선내 중앙 홀은 이미 아비규환이었다. 민용은 소방호스를 이용해 학생들을 홀에서 끌어올렸다. 구조된 학생들은 민용의 파란 바지를 기억했고, 그는 ‘파란 바지 의인’이라는 아름다운 별칭을 얻었다.

하지만 이후 민용의 삶은 아름답지 않았다. 학생들을 여럿 구하고 자신도 구조되었지만, 민용은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를 겪는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구하지 못한 아이들에 대한 미안함을 떨칠 수가 없었고 자해도 여러 번 시도했다. 민용에게 세월호는 깊고 어두운 구멍, 제목처럼 ‘홀’일 수밖에 없다.

민용의 시선과 함께 아내와 참사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둘째 아이 등의 시선도 교차한다. 세월호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민용을 이해하고 보듬는 가족의 모습은, 결국 우리 사회가 어떤 모양으로 세월호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을 껴안아야 하는지 보여 준다.

세월호 생존 피해자는 모두 172명이다. 이들 중 다른 승객들과 연결고리가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덜 기록되었고, 덜 기억’되고 있다. 다시금 깊고 어두운 구멍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기억하고 기록해야 한다. 읽는 내내 마음을 무겁게 하지만, 기억하겠다는 다짐만큼은 새롭게 하기에 충분하다. 숨죽여 삶을 받아내고 있을 모든 민용에게 새로운, 푸르른 봄날이 내려앉기를 기원한다.

출판도시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2021-04-16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