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일단 첫 문장부터 써라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일단 첫 문장부터 써라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5-07 17:50
업데이트 2020-05-08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글쓰기 백전노장들의 비법

이미지 확대
글은 벽 같습니다. 글쓰기 전에는 항상 ‘저 벽을 넘을 수 있을까?’ 한숨부터 나옵니다. 거의 매일 크고 작은 벽을 넘으면서 ‘내가 잘 넘는 걸까?’ 의구심이 듭니다. 그래서 글 쓰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나오면 항상 챙겨 봅니다. 실력이 모자라니 책이라도 읽으면 좀 나아질까 이런 생각에서입니다.

몇십 년 동안 글을 쓴 백전노장들이 알려주는 글쓰기 비법을 담은 신간 두 권이 눈에 띕니다.

‘네 번째 원고’(글항아리)는 논픽션의 대가로 유명한 존 맥피의 글쓰기 방법을 담은 에세이집입니다. 올해 90세인 그는 인물, 역사, 자연, 과학, 스포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무려 30권이 넘는 책을 냈습니다.

그는 자신의 지난 글을 예로 들어 글쓰기 발상과 구조, 집필과 퇴고, 교정·교열 방법을 책에서 알려줍니다. 개인적으로는 독자를 끌어들이는 글 구조 짜는 방법을 알려주는 ‘구조’ 편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퇴고 과정과 방법을 설명한 ‘4번째 원고’ 편도 인상 깊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어느 노 언론인의 작문 노트’(지식노마드)는 2017년 87세로 운명한 일본 저널리스트 다쓰노 가즈오가 쓴 글쓰기 방법론입니다. 일본 아사히신문 1면 칼럼인 ‘천성인어’를 13년 동안 쓴 그는 글 쓰는 태도와 좋은 문장 만들기, 글감 만들기 등 모두 38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권력을 좇고 남을 음해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인 척’해 봤자 곧 드러난다고 지적하고, 허세를 부리지 말고 어깨에 힘을 뺄 것을 주장합니다. 그러면서도 가진 것을 다 쏟아내는 마음가짐으로 글을 쓰라고 충고합니다.

두 대가가 공통으로 강조하는 부분이 바로 ‘시작’입니다. 한 번에 멋진 글을 뽑아낼 생각을 버리고 우선 첫 문장이라도 쓴 다음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나가라고 강조합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생활도 잘 관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책을 모두 읽었지만, 안타깝게도 글쓰기 실력이 확 늘어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대가들도 글쓰기가 여전히 어렵다는 고백을 읽으니, 왠지 위안이 되긴 합니다.

gjkim@seoul.co.kr
2020-05-0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