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저널리스트로, ‘지(知)의 거인’으로 불리는 다치바나 다카시의 개인 서가에는 경계를 넘어 끝없이 뻗어가는 책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지하 2층부터 4층 옥상 계단까지 평생 모은 20만여권의 장서들로 빼곡한 도쿄 고라쿠엔의 개인 도서관 ‘고양이 빌딩’은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그는 이 책들을 통해 ‘인간은 왜 읽고 쓰는가’를 질문하며, 자신이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해 온 책들과의 경험을 전한다. 다치바나는 집필 작업에 인터넷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사진은 서양 문명과 연관된 장서들이 꼽혀 있는 3층 동쪽과 남쪽 서가. 사진 와이다 준이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일본 저널리스트로, ‘지(知)의 거인’으로 불리는 다치바나 다카시의 개인 서가에는 경계를 넘어 끝없이 뻗어가는 책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지하 2층부터 4층 옥상 계단까지 평생 모은 20만여권의 장서들로 빼곡한 도쿄 고라쿠엔의 개인 도서관 ‘고양이 빌딩’은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그는 이 책들을 통해 ‘인간은 왜 읽고 쓰는가’를 질문하며, 자신이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해 온 책들과의 경험을 전한다. 다치바나는 집필 작업에 인터넷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사진은 서양 문명과 연관된 장서들이 꼽혀 있는 3층 동쪽과 남쪽 서가. 사진 와이다 준이치
일본 저널리스트로, ‘지(知)의 거인’으로 불리는 다치바나 다카시의 개인 서가에는 경계를 넘어 끝없이 뻗어가는 책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지하 2층부터 4층 옥상 계단까지 평생 모은 20만여권의 장서들로 빼곡한 도쿄 고라쿠엔의 개인 도서관 ‘고양이 빌딩’은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그는 이 책들을 통해 ‘인간은 왜 읽고 쓰는가’를 질문하며, 자신이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해 온 책들과의 경험을 전한다. 다치바나는 집필 작업에 인터넷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사진은 서양 문명과 연관된 장서들이 꼽혀 있는 3층 동쪽과 남쪽 서가.
사진 와이다 준이치
2017-01-2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