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삽한 서정시 반성 간결한 극서정시 지향

난삽한 서정시 반성 간결한 극서정시 지향

입력 2011-10-22 00:00
업데이트 2011-10-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정시학, 강은교·이기철·이선영 시집 발간

‘운조가 걸어간다/ 운조가 걸어간다/ 푸른 지평선 황토치마 벌리고/ 한 모랭이 지나 화살표 사이로/ 두 모랭이 지나 화살표 사이로/ 운조가 걸어간다/ 마음 떨며 운조가 걸어간다’(강은교 시인의 ‘운조’ 중에서)

이미지 확대
왼쪽부터 강은교, 이기철, 이선영 시인.  서정시학 제공
왼쪽부터 강은교, 이기철, 이선영 시인.
서정시학 제공


1968년 등단해 43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예민한 감수성과 남다른 매혹을 발휘하는 시를 쓰는 강은교(66) 시인이 6년 만에 12번째 시집 ‘네가 떠난 후에 너를 얻었다’(서정시학 펴냄)를 내놓았다.

서정시학은 요즘 유행하는 소통불능의 장황하고 난삽한 서정시를 반성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짧고 간결한 극서정시(極抒情詩)를 지향하는 시집을 발표하고 있다. 강 시인의 시집은 이기철(68) 시인의 ‘잎, 잎, 잎’, 이선영(47) 시인의 ‘하우부리 쇠똥구리’와 함께 발간됐다.

시집 ‘허무집’을 통해 절망적 시대에 대한 인간적 위기의식을 표현했던 강 시인은 초기에 버려진 딸이 병든 아버지를 구한다는 ‘바리데기 노래’를 불렀다. 바리데기에 이어 최근 시인이 제목이나 후렴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운조’는 조선시대 한 인물의 이름을 아주 조금 바꾼 것이다. 최동호 고려대 교수는 “‘운조’란 시어는 역사적으로 명멸한 수많은 여성의 대명사이며 오늘도 희생하며 사는 여성들의 이름”이라며 “이 시대 여성의 이름이자 천 년, 이천 년 전 여성의 이름이기도 한 ‘운조’란 조어를 빌려 여성의 삶 또는 인간의 존재적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강 시인은 “시는 유행어와는 다른 뭔가가 있어야 한다.”며 “구태여 시를 읽을 필요가 없고 시인이 따로 있는 게 아닌 요즘, 시인이란 아름다움을 꺼내고 세계를 긍정하는 사람이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첫 시집을 낼 때는 부정적이었다는 시인은 서울에서 부산으로 떠나 40여년간 바다 또는 절을 바라보며 살았다. 이제 시인은 “이 시대의 시인은 위로에서 끝나지 않고 감동을 통해 뭔가를 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졸업식을 위해 쓴 시 ‘이제 일어서라, 과나코를 찾아서’에서 시인은 열정적으로 사랑과 희망을 노래한다. 과나코는 남미에서 가장 강력한 생명력을 지닌 당나귀와 유사한 동물이다. ‘잠시 잘못 가도 좋다, 잘못 가면 다시 가라, 인생은 낙타의 발굽, 낙타의 등 같은 저 언덕들/가라, 과나코를 찾아서 가라’고 말하는 시인은 ‘오, 과나코 네가 일어서지 않으면 누가 네 속에서 일어설 것인가’라고 언어의 주술을 건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10-22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