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서 밸을 맡은 박정복(왼쪽)과 에스터를 맡은 곽동연. 파크컴퍼니 제공
노벨문학상 수상자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는 추상적인 연극의 대표로 꼽힌다.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린다는 내용인데 도대체 고도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 왜 기다리는지, 왜 기다려야 하는지 등등 작품 이해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인기는 많지만 그래서 ‘고도를 기다리며’는 관객 입장에서 한편으로 불친절한 연극에 속한다.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는 ‘고도를 기다리며’를 보다 쉽게 풀어낸 작품이다. 원작을 따라 지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고도를 기다리며’를 작품에 담아냈으며 그것을 기다리는 대역 배우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렸다.
제목 그대로 작품은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는 작품이다. 원작이 정체가 불분명한 고도를 기다리는 것과 달리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는 대역 배우라는 배역 설정을 통해 기다림의 대상을 명확히 했다. 작품을 쓴 작가이자 연출가인 데이브 핸슨이 명쾌한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원작의 추상성을 구체화했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서 에스터를 맡은 곽동연(왼쪽)과 밸을 맡은 박정복. 파크컴퍼니 제공
‘고도를 기다리며’의 에스트라공은 에스터, 블라디미르는 밸이 됐다. 에스터가 맞지 않는 신발 때문에 끙끙대고 밸이 자꾸만 모자를 벗었다 썼다 하는 모습에서 원작과 쉽게 연결된다.
무대를 기다리는 배우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만큼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는 연극이 시작할 때 나오는 안내방송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에스터와 밸이 있는 공간 멀리서 아련하게 ‘고도를 기다리며’ 연극 대사가 흘러나온다. 지난해 12월 개막했던 ‘고도를 기다리며’를 봤던 관객들이라면 목소리의 주인공이 작품에 출연한 박근형과 신구임을 눈치챌 수 있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서 에스터가 밸에게 연극을 가르치는 등 작품은 배우들의 구체적인 일상을 담아냈다. 상대방의 대사를 따라 해보라고 하고 잘 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에스터가 허풍으로 가르치는 것 같아도 실제 현장에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다 무대조감독인 로라가 구두를 찾으러 들어오면서 두 사람은 간절히 기다리던 고도, 즉 연출이 온 것으로 착각하고 호들갑을 떤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는 이렇듯 에스터와 밸이 기다리는 것이 무대에 설 기회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서 로라 역을 맡은 정재원. 파크컴퍼니 제공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지만 원작의 부조리성 역시 놓지 않은 것이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의 특징이다. 작품 중간중간 무의미한 대화가 오가기도 하고 부조리한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공연은 계속되어야 하니까”라는 에스터의 대사, 즉 “쇼 머스트 고 온”이라는 공연계에서는 흔한 대사가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에서는 보다 의미 있게 소화된다. 갑자기 문제가 생겨도 공연이 계속될 수 있도록 기다리는 대역 배우들의 숙명을 나타내는 대사인 동시에 마지막에 발생하는 비상 상황으로 인해 두 사람이 마침내 둘만의 ‘고도를 기다리며’를 시작해 공연이 계속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난해한 원작을 이토록 빛나고 재치 있는 상상력으로 풀어낸 점이 돋보인다. 대역 배우들의 구체적인 일상을 통해 관객들이 웃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로 만들면서 ‘고도를 기다리며’가 이렇게 매력적인 이야기임을 새삼 일깨운다. 원작의 재창작이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배우 이순재의 출연분이 진작부터 매진 행렬을 이뤘던 작품이다. 이순재가 건강상의 이유로 하차해 곽동연, 박정복, 정재원만 출연하고 있지만 그래도 빈자리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인기가 대단하다. 12월 1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 예스24스테이지 3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