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지역 SO에 수신료 요구 논란

종편, 지역 SO에 수신료 요구 논란

입력 2012-12-17 00:00
업데이트 2012-12-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 종합편성채널들이 유선방송사업자(SO)들에게 수신료를 요구해 논란이 일고 있다. SO들은 종편들이 1년 전 개국과 함께 지상파와 가까운 14~20번대의 프라임 채널과 의무전송이란 특혜를 받은 만큼, 따로 수신료까지 챙겨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16일 케이블방송업계에 따르면 종편들은 최근 SO들에게 일방적으로 수신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종편들이 YTN과 비슷한 수준의 수신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해 왔다.”고 전했다.

현재 SO들은 다른 의무전송채널인 공익·공공채널에는 수신료를 한 푼도 주지 않고 있다. 한 케이블방송 관계자는 “YTN은 출범 당시 경영이 너무 어려워 다른 의무전송채널과 달리 이례적으로 수신료를 줬다.”면서 “이미 몇몇 SO가 종편의 압력에 눌려 수신료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SO들은 종편에 수신료까지 줄 수 없다며 맞서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의무전송채널로 지정해 SO가 별도로 종편의 특정 채널 송출 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수신료까지 지불하는 것은 무리라는 설명이다. 다른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에 비해 특혜를 받는 종편이 수신료까지 챙겨가면, 그만큼 다른 PP들에게 돌아갈 수신료의 몫은 줄어든다.

현재 SO들은 수입의 30%가량을 수신료로 지불하고 있다. 수백개의 PP들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질과 횟수에 따라 SO들로부터 수신료를 나눠 받는다.

‘파이’가 한정된 상황에서 SO들은 유료 케이블 가입가구에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하는 대가로 조만간 가구당 250원 안팎의 수신료를 지상파 방송사들에게 지불할 예정이다. 재전송 수신료와 관련된 지상파 방송사들과의 소송에서 졌기 때문이다. 케이블방송 업계 관계자는 “종편까지 수신료를 챙기려 든다면 중소 PP들의 프로그램 제작능력과 입지는 현저히 약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앞서 일부 PP들은 지난해 종편 개국과 함께 종편에 자신들이 둥지를 틀었던 황금 채널까지 빼앗긴 상태다.

일각에선 종편이 수신료를 받는다면 의무전송채널을 반납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이 경우 방송통신위원회가 채널변경을 허락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측은 수신료 지급은 SO들과 종편 간의 문제로 사업자 간에 자율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2-1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