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의 공간’ 문학 건축으로 소통하다

‘상상의 공간’ 문학 건축으로 소통하다

입력 2009-12-15 12:00
업데이트 2009-12-15 12: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2일까지 현대미술관 서울관

상상의 공간과 실재의 공간, 지극히 대척점에 존재하는 재료를 다루는 문학과 건축이 한데 어울린 독특한 전시가 마련됐다.

이미지 확대
건축가 김광수가 만든 ‘달로문학관’ 건물 투시도
건축가 김광수가 만든 ‘달로문학관’ 건물 투시도
건축문화학교는 15일부터 22일까지 서울 기무사터에 있는 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어디?와 무엇?의 문학과 건축’전을 개최한다. 시인 강성은·심보선·이준규, 소설가 한유주, 건축가 곽희수·김광수·최욱·함성호 등 문인과 건축가 8명이 참가한 이 행사는 퍼포먼스를 동반한 새로운 형태의 복합 전시다.

우선 건축가들은 문인들이 기존에 발표한 작품을 바탕으로, 그 안에서 그리고 있는 가상의 공간과 이미지를 눈에 보이는 설치미술품으로 제작해 내놓는다. 그러면 여기에 다시 문인들은 작품 낭독이나 퍼포먼스, 동영상 제작 등으로 화답한다.

예컨대 함성호와 심보선이 함께 작업한 ‘파지/뒤집기’는 시에 쓰이는 ‘역설’을 공간적으로 변형한 작품이다. 심보선의 시집인 ‘슬픔이 없는 십오초’를 행 단위로 잘라 평면적이던 시를 공간 속에 지그재그 형태로 풀어 놓았다. 이런 엇갈림 속에서 시행들은 다시 모서리가 닿아 새로운 연결을 만드는 형태다.

김광수는 소설가 한유주를 위한 달로문학관을 만들어 설치한다. 여기에는 사진작가 이득영도 참가해 ‘서사 없는 소설’이란 그녀의 특별한 작업을 공간화한다. 그 외 장소와 언어의 충돌을 보여주는 ‘한강/흐름’, 기록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암시하는 ‘記/基’ 등의 작품도 퍼포먼스와 함께 전시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함성호는 “문학의 공간을 만질 수 있는 현실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보고 싶었다.”면서 “이를 시작으로 건축뿐 아니라 좀 더 많은 장르의 예술을 문학과 연관시키는 기획을 꾸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09-12-1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