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뇌 절도 사건 ‘충격’… “천재의 뇌가 궁금, 차이점은?”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뇌 절도 사건 ‘충격’… “천재의 뇌가 궁금, 차이점은?”

입력 2015-06-28 10:57
업데이트 2015-06-28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뇌 절도 사건 ‘충격’… “천재의 뇌가 궁금, 차이점은?”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서프라이즈’ 아인슈타인 뇌 절도 사건이 알려져 화제다.

28일 방송된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는 ‘천재의 뇌조각’ 편이 그려졌다.

이날 방송에서는 1955년 미국 뉴저지에서 일어난 뇌 절도 사건이 공개됐다.

대동맥 파열로 76세 나이에 죽음에 이른 아인슈타인. 천재 과학자로 추앙받던 그는 사후 자신의 몸을 기증하겠다고 했지만 죽음을 앞두고 자신을 신격화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몸을 화장해달라고 했다.

이에 가족들은 그를 화장했으나 몇 십년 후 ‘뉴저지먼슬리’ 스티븐 레비는 그의 뇌 사진을 공개했다.

1955년 아인슈타인이 사망한 프린스턴 대학교 병원에서 근무하던 토마스 하비가 천재의 뇌가 궁금한 마음에 몰래 그의 뇌를 꺼내고 아인슈타인의 뇌에는 솜을 채운 것이었다.

토마스 하비는 이후 아인슈타인의 뇌를 촬영하고 240조각 등으로 자르는 등 연구를 진행했다. 그러나 20여 년 동안 연구를 했음에도 별다른 차이점을 못 찾자 다른 과학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그가 뇌를 절도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토마스 하비는 “개인적인 욕심이 아니라 인류를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하며 “뇌를 꺼내고 이후 아들에게 허락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들이 사망해 확인이 어려웠고 아인슈타인의 뇌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이를 연구하겠다는 과학자들이 몰려 흐지부지됐다.

이후 학계에서는 아인슈타인의 뇌가 뇌 활동에 중요한 세포가 다른 사람보다 많다고 주장, 대뇌피질 뉴런의 밀도가 높다 주장 등이 발표됐으나 이 모든 것은 연구 과정의 오류 등으로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