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대통령에 극우 강경파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에 극우 강경파 리블린

입력 2014-06-11 00:00
업데이트 2014-06-11 0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팔레스타인 평화협상 등 국제사회와 마찰 우려

이스라엘 새 대통령에 극우 강경파인 레우벤 리블린(74) 전 국회의장이 선출됐다. 오는 7월 물러나는 시몬 페레스 대통령이 대표적 비둘기파인 것과 달리, 리블린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초강경 정책을 주장해 온 인물인 만큼 향후 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을 비롯해 국제사회와의 마찰 등이 예고된다.

이미지 확대
10일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새 대통령에 당선된 레우벤 리블린(왼쪽)이 승리 직후 경쟁자인 메이르 시트리트 의원과 포옹하고 있다. 예루살렘 AP 연합뉴스
10일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새 대통령에 당선된 레우벤 리블린(왼쪽)이 승리 직후 경쟁자인 메이르 시트리트 의원과 포옹하고 있다.
예루살렘 AP 연합뉴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율리 에델스테인 국회 대변인은 10일 크네세트(의회)에서 시행된 대통령 선출 무기명 투표에서 리블린이 재적의원 120명 가운데 63표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됐다고 밝혔다. 강력한 경쟁 후보인 노동당의 베냐민 벤엘리에제르 전 국방장관은 불법 자금 수수 의혹과 관련해 경찰 조사를 받고 나서 지난 7일 후보직을 사퇴했다. 리블린은 앞으로 7년간 대통령직을 맡게 되며, 취임식은 다음 달 말 열릴 예정이다.

그는 국제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팔레스타인 땅에 유대인 마을을 잇달아 건설하는 것을 지지하고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립에 반대 견해를 표명해 왔다. 2010년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 개의 국가를 인정함으로써 이스라엘이 두 나라로 갈리는 꼴을 보기보다는 차라리 팔레스타인인들을 이스라엘 국민으로 만드는 편이 낫다”고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그러나 대중적으로는 강경 발언을 통해 인기를 끌었다. 1988년 의회에 처음 진출한 뒤 그해부터 1993년까지 리쿠드당 대표를 지냈다. 통신장관을 거쳐 2003년부터는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이스라엘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수반으로, 실질적인 국가권력은 총리에게 집중돼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 의회에 압도적인 다수당이 없는 만큼 연정을 구성할 때 대통령이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06-11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