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ICBM급 2차 발사] 中, 北도발엔 규탄 시늉만 韓 사드 배치엔 칼날 비판

[北, ICBM급 2차 발사] 中, 北도발엔 규탄 시늉만 韓 사드 배치엔 칼날 비판

입력 2017-07-30 23:08
업데이트 2017-07-31 0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사회 무시한 발사 반대… 사드는 中이익 심각히 침해”

중국은 지난 2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도 이전과 똑같이 ‘밋밋한’ 반대 성명만 발표했다. 반면 우리 정부가 북한 도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발사대 4기를 임시로 추가 배치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강력 비판했다. 중국이 앞장서 북의 도발을 저지하러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점과 사드 철회 없인 막힌 한·중 관계도 풀지 않겠다는 중국의 고집이 이번에도 드러난 셈이다.

중국 외교부는 29일 홈페이지에 성명을 싣고 “중국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고 국제사회의 보편적 기대를 무시한 채 발사를 감행한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기존의 성명과 반대 강도가 같았다.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이 ICBM급이라고 규정하지도 않았다.

대신 중국 외교부는 한국의 사드 발사대 4기 임시 배치에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날카롭게 날을 세웠다. 겅솽 외교부 대변인은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보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면서 “한·미 양국이 우려를 직시해 사드 배치를 중단하고 관련 설비를 완전히 철수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관영 언론도 장단을 맞췄다. 관영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한반도 정세 악화 책임을 중국에 전가하는 미국 등의 ‘중국 책임론’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선택지는 제한적”이라며 “사드 배치 등 한국과 미국의 군사행동이 상황을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의 이 같은 태도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ICBM급 추가 발사가 사드 배치에 명분을 줄 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추가 대북 제재 압력을 키우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은 더욱 곤혹스럽게 됐다. 영국 BBC는 “중국의 북한에 대한 영향력은 실제로 현저히 떨어진 상태이며, 그렇다고 북한이 붕괴하도록 중국이 먼저 나설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7-3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