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식량·에너지 원조로 北핵개발 돈 퍼준 前정권 전철 안밟아”

美 “식량·에너지 원조로 北핵개발 돈 퍼준 前정권 전철 안밟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04 10:20
업데이트 2018-07-04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무부 관계자 “선의의 조치 해왔다.생산적 결과 기대” 北 ‘진정성있는 화답’ 압박

미국 국무부는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주 방북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취해온 ‘선의의 조치’들에 상응하는 ‘화답’을 북한에 요구했다.

특히 전임 정권들이 북한에 대한 식량이나 에너지 원조 등에 막대한 돈을 지원, 핵·미사일 개발을 돕는 결과만 낳았다면서 그러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비핵화 때까지 제재 지속’ 입장을 재확인했다.

6·12 북미정상회담의 후속협상 국면을 맞아 ‘양보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핵무기 및 시설 등에 대한 ‘완전한 신고 리스트’ 제출 등을 압박, 협상의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국무부 관계자는 3일(현지시간) 북한의 핵 신고 리스트 제출 전망을 묻는 연합뉴스의 서면질의에 “폼페이오 장관이 밝혔듯이 미국은 선의의 조치들을 취해왔다”며 “생산적인 결과들이 성취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윤곽을 그린 목표들을 완수하기 위해 신속한 방식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속도감 있는 협상’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분명하다. 우리는 김 위원장이 합의한 대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the final, fully-verified)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특히 “대통령은 북한 정권에게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쓸 수 있는 돈을 풀어 준 수백만 달러의 식량 원조와 수십억 달러의 에너지 원조, 그리고 현금 지급에 이르기까지 유인책을 제공했던 전임 행정부들의 실수를 되풀이하는 걸 거부해왔다”며 “이 모든 것들은 북한이 불법적인 무기와 미사일을 개발하는 걸 도왔을 뿐”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압박과 제재는 북한이 비핵화하고 핵이 더이상 (위협) 요인이 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핵화 방법론 및 구체적 시간표를 놓고 북미간 간극이 적지 않은 가운데 ‘행동 대 행동’의 단계적 동시 행동 원칙을 주장하며 제재완화 및 지원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에 대해 쐐기를 박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통령이 말한 대로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면 북한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고 말했다. 비핵화를 이루면 체제안전보장 및 경제보상 등 ‘밝은 미래’를 약속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당초 목표였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와 최근에 새롭게 꺼내 든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의 개념 차이를 묻는 말에 “우리의 목적은 김 위원장이 동의한 대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라면서 “싱가포르 회담 전부터 견지해온 우리의 대북 정책은 싱가포르 회담 후에도 우리의 정책으로 그대로 유지된다”고 말했다.

이어 “(싱가포르 회담 전과 회담 후 사이의) 유일한 차이는 김 위원장이 우리의 공동목적에 대해 약속했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완전하게 검증되는,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최종적인 비핵화를 원한다”며 “대통령은 북한을 최종적으로 비핵화하길, 그래서 핵 이슈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