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박… 美, 파키스탄 군사원조 年 3분의1 중단

압박… 美, 파키스탄 군사원조 年 3분의1 중단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장관 이라크 방문… 미군철수 논의

미국 정부가 파키스탄에 대한 군사 원조를 일부 중단했다. 연간 원조의 3분의1에 해당하는 8억 달러 규모다. 오사마 빈라덴 제거 작전 이후 파키스탄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던 미국이 당근보다 채찍을 선택했다. ‘미국과 테러 단체에 양다리를 걸치지 말고 하나만 선택하라.’는 고강도 압박이다.

윌리엄 댈리 백악관 비서실장은 10일(현지시간) ABC와의 인터뷰에서 이를 인정했다. BBC는 미국이 파키스탄의 행동에 불쾌감을 표시하려는 목적으로 지원을 중단한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파키스탄 정보 당국이 빈라덴의 은신을 도왔을 것으로 추정되면서 그동안 미국에서는 파키스탄 원조를 둘러싸고 회의론이 증폭돼 왔다.

파키스탄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공식적인 전갈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중국과 손잡을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파키스탄 고위 관계자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군사 원조를 줄여도 지난 10년간 구축한 중국과의 긴밀한 군사동맹이 부족분을 메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라크도 미국의 압박에 몰렸다. 리언 패네타 신임 미 국방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이라크를 예고 없이 방문했다. 그는 11일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와 이라크 주둔 미군의 철수 시한 연장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패네타 장관은 기자들이 미군 주둔 기간을 연장하도록 압박할 것이냐고 묻자 “그들이 결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이라크 정부의 연장 요청이 없는 한 올해 말까지 4만 6000여명의 미군을 철수시킬 계획이다. 다만, 패네타 장관은 시아파 무장단체가 이란으로부터 제공받은 무기로 미군을 공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이미 많은 미국인이 숨졌다면서 “우리는 이런 위협을 독자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미군이 지난해 8월 이라크에서 전투 임무 종료를 선언한 뒤 1년 만에 다시 독자적인 전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미군 주둔 연장은 양국 모두에 부담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2008년 대선 당시 이라크 철군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미군 주둔에 반대하는 시아파와 연정을 구성한 알말리키 총리도 연장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라크의 치안 상태는 여전히 위태롭다. 지난달 사망한 미군은 15명으로 2008년 이후 가장 많았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7-1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