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이집트] 벼랑 끝 몰린 ‘현대판 파라오’

[기로에 선 이집트] 벼랑 끝 몰린 ‘현대판 파라오’

입력 2011-02-07 00:00
업데이트 2011-02-0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년 동안 이집트를 지배해온 독재자가 민주화시위 앞에서 점점 더 궁지에 몰리고 있다. 5일(현지시간) 집권 여당인 국민민주당은 최고 지도부가 총사퇴한다고 발표했지만 시위대를 진정시키기엔 역부족이었다.

국영 텔레비전은 무바라크 대통령이 국민민주당 당수직에서 물러난다고 긴급 보도했다가 몇 시간 만에 정정보도를 내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영국 일간 가디언은 무바라크 대통령 일가가 가진 재산이 최대 78조원이나 된다고 보도해 분노를 샀다.

이집트 정부가 발표한 여당 지도부 총사퇴조차 시위대에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오히려 더 눈길을 끈 것은 총사퇴 발표 과정에서 드러난 혼선이었다. 이집트 국영텔레비전은 이날 무바라크 대통령의 아들 가말 국민민주당 정책위원장, 사프와트 엘셰리프 국민민주당 사무총장 등 지도부가 전원 사퇴했다고 전하면서 무바라크 대통령도 당수직에서 물러났다고 전했다.

하지만 불과 몇 시간 만에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은 번복한 채 나머지 지도부만 물러나는 것으로 말을 바꾸면서 무바라크 대통령의 불안한 처지만 부각시키는 꼴이 됐다.

무바라크 대통령의 입지는 시간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민주화 시위 초기 무바라크 대통령을 옹호하던 미국 정부마저 등을 돌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4일 권력이양 작업을 당장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다음날 오마르 술레이만 부통령이 주도하는 개혁 이행과정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집트 군부조차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무바라크를 희생양 삼으려 하고 있다.

한편 영국 일간 가디언은 무바라크 일가의 재산이 무려 700억 달러(약 78조1900억원)에 이른다고 4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중동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무바라크 일가가 권력을 이용해 챙긴 수입 가운데 상당 부분을 영국과 스위스 은행의 비밀 계좌에 입금하거나 런던·뉴욕 등에 있는 부동산을 구입했다고 보도했다.

더럼 대학 크리스토퍼 데이비드슨 중동정치학과 교수는 “무바라크 대통령의 부인과 두 아들도 무바라크 대통령이 군대 등 기업부패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자리에 있을 때부터 외국 투자자들과의 협력 사업을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2-0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