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그 밤이 다시 오면

[길섶에서] 그 밤이 다시 오면

황수정 기자
입력 2024-12-10 03:11
수정 2024-12-16 1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프루스트는 홍차에 적신 마들렌을 깨물다 어릴 적 기억을 펼쳤지. 깻잎을 씻다가 프루스트도 아니면서 나는 예전의 여름밤을 생각했다.

시골집 뒤란에는 들깨가 우썩우썩 자랐다. 겨우 서너 포기가 품을 벌렸어도 장독간의 절반을 쓸어안았다.

더위에 짓무른 여름밤에는 들깨향이 은근해져서 집안을 돌아다녔다. 안마루 깊숙이 누운 우리집 식구들은 장독간 들깨들이 어쩌고 있는지 눈을 감아도 서로 알았다. 바람에 대궁이 흔들리는지, 달빛에 숨을 죽였는지. 그 여름밤은 마루의 불을 끄면 칠흑이었다.

포장이 얌전한 깻잎 묶음을 코끝에 흔든다. 명색이 깻잎인데 후각이 감감하다. 비닐하우스 인공조명에 밤낮 갇혔으니 제 향기를 털리고 말았다.

밤의 고요를 빼앗겨 향기를 뺏긴 것은 깻잎만일까. 별을 모르고 달을 모르고. 밤이 와도 등짐을 벗을 줄 모르고 저린 종아리를 펼 줄 모르고. 밤이 밤다워지면 깻잎은 깻잎다워질까.

정수리가 젖도록 까맣게 잠기고 싶은데. 나를 따라다니며 종일 서 있던 내 마음을 뉘어서 재우고 싶은데. 칠흑의 그 밤이 다시 오면.
2024-12-1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