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수꽃다리/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수수꽃다리/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1-04-15 20:22
업데이트 2021-04-16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네 어귀, 봄바람에 실린 꽃향기가 코끝에 닿는다. 진원지를 찾아 발길 따라 가 보니 아담한 담장 너머 라일락 꽃이 정겹다. 바람결에 살랑대는 그 청초한 모습과 매혹적인 향기는 기억 저편에 잠자던 젊은 날의 추억 한 가닥을 끄집어내는 듯하다. 한참이나 향기에 취했다. ‘첫사랑’ 또는 ‘젊은 날의 추억’을 꽃말로 가진 라일락의 우리말 이름은 ‘수수꽃다리’라고 한다. ‘수수꽃’과 ‘다리’가 합쳐진 것인데 수수 이삭처럼 꽃이 한데 뭉쳐 탐스럽게 핀 모습에서 유래했다.

해방 혼란기 미국의 한 식물채집가가 북한산 백운대에서 얻은 수수꽃다리 종자를 미국에 가져가 지금의 라일락으로 개량했다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들은 적이 있다. 우리가 이 꽃의 진가를 일찍 알아보고 공을 들였다면 세계 꽃시장에서 ‘수수꽃다리’로 불렸을지도 모른다.

가만 생각하니 살가운 우리꽃 이름이 한둘이 아니다. 해를 바라보고 방향을 튼다고 해서 붙여진 ‘해바라기’는 영어식 ‘선플라워’보다 정감이 있다. 가을 바람에 살랑대는 ‘살사리’라는 이름의 꽃이 우리에게 익숙한 코스모스다. 우리의 정서와 우리의 이야기가 담긴 이름이라 그런지 정겹다. 지금이라도 에델바이스를 솜다리꽃으로 부르고 아이리스를 붓꽃이란 우리말 이름으로 부르면 어떨까.

oilman@seoul.co.kr
2021-04-16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