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절박한 매미/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절박한 매미/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8-20 20:44
업데이트 2020-08-21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우가 지나간 후에 태양은 대지를 불태워 없앨 듯이 작열한다. 나약한 인간은 삼십몇 도의 광열에도 헉헉대지만, 지칠 줄 모르는 무리가 있다.

절박한 것들은 도리어 끝나가는 여름이 두렵다. 7년을 기다린 끝에 그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단 7일. 목청이 찢어지도록 울어 대다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할 때 매미는 때로는 인간이 사는 곳으로 돌진해 비장한 죽음을 맞이한다. 그들의 삶은 인간보다 열정적이고 마지막은 인간보다 깔끔하다.

남은 시간이 1년이나, 한 달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다면 우리는 지금처럼 살지는 않을 것이다. 나태하지도 않을 것이고, 이유 없이 남을 미워하지도 않을 것이다. 시간을 쪼개서 의미 있는 일을 하고자 할 것이다.

매미가 인간의 주거지와 도심에 많은 까닭은 인간이 뿜어내는 열기 때문이라고 한다. 기온이 낮아지면 매미는 구애(求愛)의 울음을 울 수가 없다. 그래서 여름의 마지막 하루하루는 그들에게 목숨을 건 싸움, 필생의 사투다.

새벽에 잠을 깨우고 성가시게 굴더라도 매미 울음을 기꺼이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게으른 인간이 미물(微物)에 불과한 매미보다 나을 것이 없다. 절박한 매미는 인간보다 훨씬 근면하다.

sonsj@seoul.co.kr

2020-08-2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