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싸] 저층주거지 新정비방식 ‘모아타운’/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서울인싸] 저층주거지 新정비방식 ‘모아타운’/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입력 2022-02-02 20:32
업데이트 2022-02-03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서울시내 주거지역은 크게 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고층주거지와 다가구ㆍ다세대주택 위주의 저층주거지로 구성돼 있다. 저층주거지 비중은 전체 주거지역의 약 42%이며 이 중 약 87%는 좁은 도로, 부족한 주차장 등 노후한 기반시설로 주거환경이 열악하다. 그럼에도 신ㆍ구축 건물이 혼재돼 있어 노후도가 재개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방치돼 왔다.

서울시는 그간 노후 저층주거지에 대한 대표적인 주거환경 개선 방안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도로, 주차장 등 기반시설 개선과 녹지공간 확보 등에서 뚜렷한 한계가 있었기에 보다 적극적인 대안 마련을 위해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

서울시가 지난달 13일 발표한 ‘모아주택’은 이런 고민 끝에 도입한 저층주거지의 새로운 정비모델이다. ‘모아주택’은 다가구ㆍ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로 적정 필지 규모(1500㎡) 이상의 중층 아파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기에 요건과 절차가 간소화돼 재개발에 비해 신속한 사업 진행이 가능하다. 주민 간 공동개발을 통해 지하주차장 건설로 저층주거지에서 심각한 주차 문제가 해결됨은 물론 저층부 커뮤니티 시설까지 들어설 수 있다. 더욱 좋은 것은 지상녹지까지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서울시는 ‘모아주택’에서 보다 확장된 ‘모아타운’을 도입할 계획이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으로 추진되는 ‘모아주택’들이 모여 더 큰 단지를 이루게 될 ‘모아타운’을 통해 무분별한 개별 사업 추진으로 인한 나홀로 아파트 양산을 방지하면서, 대단지 아파트처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확충할 수 있게 된다.

‘모아타운’ 지정과 원활한 모아주택사업 추진을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역시 준비하고 있다. 사업 간 결합을 통해 지하주차장 통합 설치 허용, 용적률 및 층수를 완화한다. 또한 지역 내 필요한 도로, 주차장, 공원 등의 조성을 위해 국ㆍ시비를 지원하며 서울시 공공건축가를 통해 품격 있는 건축 디자인 설계도 지원한다.

서울시는 ‘모아주택’을 통해 2026년까지 총 3만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강북구 번동과 중랑구 면목동 2곳을 ‘모아타운’ 시범사업지로 선정했다. 올해부터 자치구 공모와 주민 제안을 통해 매년 20곳씩 5년간 총 100곳의 ‘모아타운’을 지정할 예정이다.

‘모아타운’을 통해 노후 저층주거지를 대단지 아파트 부럽지 않은 동네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서민들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집값 급등에 따른 시름을 덜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2-02-0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