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억울함 없는 세상

[책 속 한줄] 억울함 없는 세상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7-21 20:34
업데이트 2020-07-22 0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이라는 이유로 호의를 베풀어 달라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내가 형제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우리 목을 밟고 있는 그 발을 치우라는 것이다.”(82쪽)

1993년 미국 역사상 두 번째로 여성 대법관에 오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RBG). 올해 87세로 미 연방 대법원 최고령 대법관인 긴즈버그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권리를 위해 투쟁해 온 강직한 인물이다. ‘긴즈버그의 말’(마음산책)은 그가 ‘진보의 아이콘’으로 통하는 이유를 여실히 알게 하는 어록이다. 정의와 평등을 위해 항상 홀대받는 소수 편에 서 목소리를 높여 ‘악명 높은 RBG’라는 별명이 붙는 법률가. 그의 사법 인생과 개인적인 삶은 별명과 달리 설득과 소통의 점철이다. “효율적인 판사는 권위적으로 말하는 대신 설득하려 노력한다”는 외침은 요즘 우리 사법부가 귀 담아야 할 특별한 경계가 아닐까. 1000만 도시 시장의 죽음에 얽힌 한 여성의 고통이 유난히 커 보이는 계절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7-22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