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종편 광고직영 못 막으면 공정언론 없다

[사설] 종편 광고직영 못 막으면 공정언론 없다

입력 2011-10-08 00:00
업데이트 2011-10-08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래가 싸우면 새우등이 터진다. 지금 언론계가 딱 그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고래는 조선·중앙·동아일보와 매일경제 등 대형 신문사를 끼고 있는 4개 종합편성채널(종편)이다. 신문·방송 복합체인 종편은 최근 날개를 달았다. 민주당이 종편에 광고 직접영업을 한시 허용하는 절충안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줄곧 종편의 광고 독자 영업에 우호적이었으니 미디어렙(방송광고 판매대행사) 입법은 탄력을 받게 됐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지난 2008년 공중파 TV에 대한 방송광고공사의 독점광고영업이 헌법재판소로부터 불합치 결정을 받은 이후 대체입법 협상을 벌여 왔다. 그러나 종편을 미디어렙 규제대상에 포함시킬 것인가를 놓고 2년 넘게 공방을 벌이다 민주당의 ‘통 큰’(?) 양보로 접점을 찾게 됐다. 민주당이 며칠 전 2013년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종편에 대해 미디어렙 적용을 유예하자는 수정안을 제시, 큰 걸림돌이 제거됐다. 여야가 종편에 광고직영의 물꼬를 터 준 것은 거대 언론사 눈치보기라 할 수 있다. 한나라당은 그렇다손 치더라도 야당인 민주당까지 대형 언론사를 끼고도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종편이 독자적으로 광고영업을 하면 매체력을 앞세운 약탈적·파행적 광고영업으로 광고질서가 혼탁해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런 우려는 최근 종편이 잇따라 개최한 매체설명회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설명회에 참석한 대기업 관계자들은 종편사들의 수억~수십억원에 이르는 각종 협찬공세에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고 있다. 종편사들은 시청률이 높지 않으리라는 전망에도 광고단가를 지상파의 70% 수준으로 요구, 25%를 염두에 두고 있는 광고주들을 난처하게 하고 있다.

이미 중간광고·간접광고·24시간 광고 등이 허용된 종편에 광고 독자영업권까지 주는 것은 특혜라고 할 수 있다. 국책사업 육성이나 산업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후발주자나 신생업체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종편이라는 특정업종에 각종 편의를 몰아주는 것은 불공정한 처사다. 종편에 대한 광고직영이 공중파로 번지게 되면 방송의 공공성이 훼손되는 것은 물론 지역 방송과 군소 신문들은 광고 감소로 고사하게 된다. 언론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건전한 언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라도 종편은 미디어렙의 규제를 받아야 한다.
2011-10-0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