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류공멸 재촉하는 中의 환경후진국 행태

[사설] 인류공멸 재촉하는 中의 환경후진국 행태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보하이(渤海)만 해상 유전에서 원유가 대량 유출된 사실이 사고 발생 한달 만에 중국 당국에 의해 공식 확인됐다. 중국 국가해양국은 네티즌들의 폭로를 통해 사고 소식이 확산되자 그제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 사실을 뒤늦게 인정했다. 그러나 핵심사항인 원유 유출량은 끝내 밝히지 않았다. 의혹을 낳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당초 트위터를 통해 사고가 처음 알려지자 기름이 번진 해역은 200㎡에 불과하며 유출량도 10t 이하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공식 발표 자리에서는 “840㎢의 해역이 하룻밤 사이에 1급수에서 4급수로 전락했다.”며 슬그머니 말을 바꿨다.

이제라도 원유 유출 규모를 명백히 밝히는 게 급선무다. 유출량에 따라 대응책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연안 양식장에서 어패류가 떼죽음을 당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한국의 남해안 등지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의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지난해 생태계 파괴와 30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고의 악몽을 우리는 똑똑히 기억한다. 시추 중인 해상 유전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보하이만 사고는 멕시코만 사태를 닮았다. 미국은 멕시코만의 비극과 싸우며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그런데 미국과 패권을 다투는 중국은 생명과 직결된 환경문제에서조차 ‘은폐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부터 시행된 제12차 경제사회5개년계획에서 환경보호를 정책의 으뜸 순위로 삼았다. 이른바 ‘녹색고양이(猫)론’이다. 그러나 이번 사고는 중국이 여전히 환경을 중시하는 ‘녹묘시대’보다는 30여년 전 성장제일 흑묘백묘시대를 살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 중국은 환경후진국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더욱 철저한 조사와 함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환경재앙은 무한대로 퍼져 나가는 속성이 있음을 명심하라.
2011-07-0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