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리로 얼룩진 대학총장선거 없애라

[사설] 비리로 얼룩진 대학총장선거 없애라

입력 2011-03-05 00:00
업데이트 2011-03-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사회에서 대학 교수만큼 지성인으로 꼽히는 직군도 없다. 대학 총장은 지성의 전당을 대표하는 자리다. 대학행정 집행권자이자 최고 책임자다. 학문적 자질과 더불어 민주적·도덕적 리더십 등이 요구되는 이유다. 물론 만능을 주문하는 것은 무리고, 만능일 필요도 없다. 그러나 현실은 사뭇 다르다. 오는 9일 치러질 국립대인 경남 창원대 총장 선거를 앞두고 위법·탈법이 횡행한 탓에 총장직선제가 다시금 도마에 올랐다. 총장 선거에서는 사회적 비판·비난의 대상인 정치판의 혼탁 선거와 다름없이 변질된 까닭에 지성인으로서, 학자로서의 묵향(墨香)을 저버린 지 정작 오래다. 개탄스럽다.

창원대 총장 후보로 출마한 한 교수는 지난 1월 동료 교수에게 100만~200만원 상당의 인삼류 세트와 상품권처럼 쓸 수 있는 선물(기프트)카드를 전달한 혐의로 선거관리위원회에 적발됐다. 이 교수는 은행 등에서 900만원어치의 선물카드를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총장직선제를 둘러싼 한심스러운 작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밝혀진 폐해만도 심각한 수준이다. 표를 위해 동료 교수·교직원들에게 식사나 선물을 제공하는가 하면 골프 접대, 파벌 조성, 감정 싸움도 서슴지 않고 있다. 인기몰이에 급급해 선심성 공약도 남발한다.

총장직선제는 1987년 6·29 선언에 따른 민주화의 산물이다. 대학 운영에서 재단의 전횡을 견제하고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제도적 장치다. 1991년 7월 직선제가 처음 실시된 이래 전국 4년제 190개 대학 가운데 국공립대 40곳과 사립대 16곳 등 56개 대학이 직선제로 총장을 뽑고 있다. 나머지는 임용제 등 새로운 선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총장직선제를 실시한 지 21년 동안 대학 자율·민주화에 적잖은 기여를 했지만 부작용 역시 만만찮다. 총장직선제의 적극적인 재고가 필요한 때다. 지성인의 전당이 비리로 얼룩지는 현실이라면 직선제 폐지는 마땅하다. 그나마 국립대의 경우 국립대 법인화가 시행되면 총장직선제는 간선제로 바뀌게 된다. 대학 총장 21명이 그제 출간한 책 ‘새로운 대학을 말하다’에서 밝힌 것처럼 한국 대학은 이대로는 안 된다.
2011-03-0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