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취업 준비의 사회적 낭비는 누가 만들었을까/김진아 산업부 기자

[지금&여기] 취업 준비의 사회적 낭비는 누가 만들었을까/김진아 산업부 기자

입력 2014-10-04 00:00
업데이트 2014-10-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진아 산업부 기자
김진아 산업부 기자
회사에서 수습기자를 뽑는다. 서류전형에 통과한 응시자는 오는 19일 필기전형의 종합교양과 논술시험을 본다. 언론사 입사 준비생들이 모여 있는 인터넷 카페를 들어가 보니 응시번호 800번대를 찍었다는 응시생들도 보인다. 한 자릿수의 수습기자를 뽑는 데 1000명 가까이 치열하게 경쟁한다.

몇 년 전 똑같은 시험을 통과해 지금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데도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그만큼 힘들게 취업해서다. 기자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전공에 토익점수가 700점도 안 됐다. 딱히 해외연수나 인턴 경력 또는 내세울 만한 자격증도 없었다. 졸업하고 나서야 기자를 하겠다고 준비하기 시작해서 부모님의 속 터지는 마음을 모르는 척 3년 가까이 취업준비생으로 살았다.

수도 없이 떨어졌다. 아르바이트생 겸 취업준비생 처지라 친구 만나는 것도 꺼렸다. 토익 점수라도 올려야 해서 수없이 시험을 본 끝에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하루하루 논술을 쓰면서 시험을 준비했고 결국 취업준비생이란 꼬리표를 뗄 수 있었다.

이렇게 자기고백을 하는 이유는 그때의 나를 생각하면 당시는 말할 것도 없고 현재도 대기업에 입사할 수 있을까 싶어서다. 경기가 어려워져 취업의 문이 더욱 좁아지면서 매년 졸업과 동시에 취업준비생이 되는 이들이 허다하다.

기존 취업준비생과 섞이면서 경쟁자만 늘어만 간다. 치열한 경쟁 속에 남들보다 더 튀고자 극단적으로 성형수술까지 한다. 그런 의미에서 특별한 스펙이 없는 나는 요즘 같아서는 지원서조차 내밀기 어렵다는 얘기다.

기업들이 지나친 취업 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적 비용 손실을 막겠다며 채용 방식을 바꾸고 있다. 국내 최대기업인 삼성그룹도 인재선발 방식을 바꿀 것을 모색 중이고, 포스코 등은 해외 체류 및 유학경험이나 제2외국어 능력, 인턴활동 등의 스펙 보유자를 특별히 우대하지 않기로 했다.

추세는 바람직하나 새로운 스펙이 등장했다. 요즘 기업들은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뽑겠다며 독서 이력이나 역사 에세이 등을 요구한다.

앞서 글로벌 인재를 찾는다며 영어 말하기 점수를 요구했고 해외 연수자를 우대했고,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선호한다고 해서 공모전 입상자를 대접한 것은 기업이다. 문제는 시류에 휩쓸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원하다고 하면서도 정작 인문계 전공자를 선발하지 않는 곳도 있다. 사회적 낭비를 누가 조장하는지 반성부터 해야 한다.

jin@seoul.co.kr
2014-10-04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