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UNCCD/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UNCCD/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09-16 00:00
업데이트 2011-09-1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막은 생물이 자라지 않는 버려진 땅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막은 ‘사하라’다. 사하라는 아랍어로 ‘불모’(不毛)라는 뜻이라고 하니 사막과 어울리는 이름이다. 사막은 많지 않을 것 같지만 의외로 지구 육지면적의 3분의1이나 된다. 아프리카, 아시아, 북·남미, 호주 등 세계 곳곳에 있다. 사막의 대명사인 사하라가 처음부터 사막이었던 것은 아니다. 이곳에서 코끼리, 기린과 함께 사람들이 들판에서 가축떼를 모는 동굴벽화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고비사막에서도 10만년 전 인간의 도구가 발견되는 등 선사시대의 유적이 상당량 묻혀 있다. 기름진 땅과 숲이 사막으로 변하는 것은 비가 내리지 않고 습기가 차단되는 기후적 요인이 크지만 인간 활동과도 연관이 깊다. 경작을 위해 숲을 없애고 가축을 대규모로 방사해 초목의 씨를 말리는 것이 바로 우리들이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옥토가 사막지대로 변한 것이 이를 잘 말해준다.

지구의 사막은 개발행위로 점점 넓어지고 있다. 이른바 사막화 현상이다. 유엔이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을 제정, 공동 대응에 나선 것도 토지 황폐화가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중국 고비사막에서 날아오는 불청객 ‘황사’로 봄, 가을 홍역을 치른다. 북한도 사막화 무풍지대가 아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여년간 북한의 산림면적은 17만㏊가 감소하고, 황폐화된 산림면적은 서울의 20배에 이르는 121㏊로 늘어나는 등 토지 황폐화가 심화되고 있다. 사막화를 방지하는 데는 산림이 절대적 역할을 한다. 나무는 표토(表土)를 쓸어가는 바람을 차단해 주는데, 나무를 베어버리니 산은 헐벗고 토양은 황폐해질 수밖에 없다. 산림청이 오는 10월 경남도와 함께 창원에서 UNCCD 제10차 총회를 개최하게 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UNCCD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생물다양성협약(CDB)과 함께 유엔의 3대 환경협약이다. UNCCD는 강제조항이 있는 UNFCCC나 CDB와 달리 당사국 자율로 규제되다 보니 국제적 관심이 덜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토지 황폐화가 장기간에 진행돼 그 폐해가 뒤늦게 나타나는 특성도 작용한다.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 원조가 종종 다른 부문으로 전용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사막화 예방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나무를 심고 벌목을 막으면 된다. 지구의 종말이 와도 한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스피노자의 경구는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09-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