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기자 통제 누구의 지시인가/윤샘이나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기자 통제 누구의 지시인가/윤샘이나 사회부 기자

입력 2010-11-25 00:00
업데이트 2010-11-2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샘이나 사회부 기자
윤샘이나 사회부 기자
24일 오후 1시, 연평도 주민들의 피난행렬이 이어진 인천해경부두 앞에는 300여명이 넘는 취재진이 몰렸다. 펜과 카메라를 든 취재진은 여전히 겁에 질린 표정을 하고 있는 주민들 앞에 펜과 마이크를 들이댔다. 정부와 군이 취재진의 연평도 진입을 철저히 통제하면서 주민들의 증언과 국방부의 발표만이 현장의 참상을 전하는 유일한 통로가 됐다. 앞서 어선과 여객선 등을 통해 연평도 진입을 시도한 취재진들은 상륙을 앞두고 모두 끌려나와야 했다. 기자들이 뽑은 인천시청 풀 기자단도 군에서 허가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뱃머리를 돌렸다. 북한에서 날아온 백여발의 포탄으로 초토화가 된 연평도에 온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정작 국민들에게 전해진 것은 바다 건너 보이는 불타는 연평도 사진 한장, 인천으로 대피한 주민들의 “무서웠다”는 전언뿐이다. 연평도에서 122㎞ 떨어진 먼발치에서 소식을 전해야 하는 취재진은 국민의 눈과 귀가 돼야 할 의무를 타의에 의해 저버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국민이 궁금해하는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도하는 것은 언론의 의무이자 권리다. 국방부는 무엇이 두려워 기자들의 현장 접근을 철저히 통제하는가. 포탄도 받아들이면서 언론 보도는 무엇이 두려워 막는 것인지 궁금하다. 이명박 대통령은 불과 여덟달 전 서해상에서 스러져간 천안함 순직 장병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부르며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국토가 유린되는 일이 터졌다. 전쟁으로 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했는데도 청와대와 국방부의 대처는 국민들을 절망케 한다.

연평도 진입을 시도하는 취재진에 군 관계자들은 “국방부의 허락이 떨어지지 않아 취재진의 출입은 불가능하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유일하게 연평도와 육지를 잇고 있는 해군과 해경함정, 구호물자를 싣고 들어가는 배는 철저히 탑승자의 신원을 통제했다. 군 관계자들은 신분증을 검사해 얼굴을 대조하고, 혹시나 취재진이 숨어들지는 않았는지 함정 기관실과 화장실까지 샅샅이 뒤졌다. 구호를 위해 연평도로 들어가는 제한된 의료진과 자원봉사자들 역시 화면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나 휴대전화 카메라도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 철저한 취재 통제로 인한 결과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루머와 오해뿐이다. 정확한 보도가 없는 상황에서 트위터와 인터넷 게시판에는 부정확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퍼지고 있다.

sam@seoul.co.kr
2010-11-25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