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8영8치(八榮八恥)/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8영8치(八榮八恥)/육철수 논설위원

육철수 기자
입력 2006-03-10 00:00
수정 2006-03-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떼의 군무나 물고기떼의 일사불란한 유영은 신비의 극치다. 무리가 많아도 서로 부딪치거나 대열을 이탈하는 개체는 없다. 새는 지저귐과 날갯짓, 물고기는 옆줄의 감지기능에 의해 무리의 흐름을 따른다고 한다. 좀더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면, 영국의 물리학자 레이놀드의 실험이 유용하다. 이에 따르면 이들은 우선 우두머리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조타성과 정렬성을 갖고 있다. 이동중 개체간 충돌을 막는 분리·회피성, 그리고 다른 개체들과 떨어지지 않으려고 무리의 중심으로 모여드는 응집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새떼는 바람이 불듯 거침없이 날고, 물고기떼는 물흐르듯 유연하게 헤엄친다는 것이다. 물론 이들의 행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맨앞에서 조타역을 맡은 우두머리다.

지금 중국에서 벌어지는 국가지도자와 인민의 모습은 새떼와 물고기떼의 행동을 연상시키기에 딱 알맞다. 후진타오 주석은 며칠 전 인민정치협상회의 연설에서 8가지 영광과 8가지 수치(八榮八恥:바룽바츠)를 7언율시로 제시했다고 한다. 이 내용이 뒤늦게 신문과 인터넷을 통해 알려지면서 중국 전역이 매료되고 찬사가 쏟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8영8치의 내용은 기실 별게 아니다.▲조국을 사랑하고 ▲인민을 위해 봉사하며 ▲과학을 숭상하고 ▲근면하게 일하며 ▲서로 돕고 ▲신의를 지키며 ▲법을 지키고 ▲어렵더라도 분투하는 것이 이른바 8영이다. 이와 거꾸로 하는 행동은 8치라는 것이다. 그런데도 중국 인민들이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을 위한 목표와 요구를 제대로 제시했다.”며 열광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배금·향락·개인주의와 부정부패가 팽배한 시점이어서 심금을 울리고 반향이 컸던 것이다. 같은 말이라도 국가지도자의 입을 통하면 이렇듯 국가비전으로서 무게를 한층 더하는 법이다. 후 주석은 ‘적시타’를 날림으로써 국가와 인민이 일사불란하게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리켰다.

막말에다 성추행, 적절치 못한 골프 등으로 걸핏하면 국민을 서글프게 만드는 게 우리 정치지도자들이다. 이들의 처신을 후 주석의 기준에 비추어 보니 적잖은 수치를 범하고 있다. 비전 제시는커녕 국가에 해를 끼치고, 국민을 배반하며, 법을 어기고, 이익만 좇은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기 바란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06-03-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