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의 추락… 시장 중심축 흔들린다

‘황제’의 추락… 시장 중심축 흔들린다

입력 2011-08-20 00:00
업데이트 2011-08-2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초 101만원서 68만원으로 SW 인수합병 등 돌파구 주목

국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추락하면서 시장의 중심축이 흔들리고 있다. 올해 초 1주에 100만원이 넘는 ‘황제주’에 등극해 증시의 새 역사를 쓰는 듯했던 삼성전자는 주요 수출국인 미국 경제가 이중침체(더블딥)에 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외국인을 비롯한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구글, 애플 등 소프트웨어 업체가 잇따라 하드웨어 부문 강화에 나서면서 ‘알맹이(소프트웨어) 없이 껍데기(하드웨어)에 강한’ 삼성의 근원적인 경쟁력마저 위협받는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4.09%(2만 9000원) 떨어진 68만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101만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지난 1월 28일 대비 32.67% 하락한 것이며, 연중 최저가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148조 7723억원에서 100조 1635억원으로 3분의1 가까이 쪼그라들었다.

전문가들은 국내 시총 1위(전체의 9.24%)의 대장주(株)인 삼성전자 주가가 급락한 것은 단순히 개별 종목의 문제가 아니라 시장을 떠받치는 중심축이 흔들리고 있다는 뜻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이진우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정보기술(IT) 거품 등 업황과 관련한 이슈가 있더라도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는 적었다.”면서 “최근 시장의 불안심리가 이전보다 강하게 투영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정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증시에서 시총 1위인 애플의 주가가 빠지면 상징성이 크듯이 삼성전자도 국내에서 비슷한 위상을 갖고 있다.”면서 “최근 세계 IT시장이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생산성을 창출하는 기업에 높은 프리미엄을 주다 보니 하드웨어에 치중한 삼성전자가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구글이 모토롤라를 인수하고 애플이 일본 샤프사에 투자 의향을 밝히면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이 대세가 되고 있어 삼성전자의 경쟁력에 의문이 생기고 있다.”면서 “다만 삼성전자가 20조원의 자금력을 지닌 만큼 인수·합병(M&A)에 나서는 등 돌파구를 마련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주가가 다시 100만원을 돌파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주가가 다시 100만원을 돌파하려면 외국인들의 투자 심리가 살아나야 한다.”면서 “여기에 반도체 및 액정표시장치(LCD) 가격이 안정되고 ‘갤럭시S 2’ 등이 호조세를 보이면 예상보다 빨리 100만원대를 회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류지영·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08-20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