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14% “해킹 피해”

네티즌 14% “해킹 피해”

입력 2011-03-25 00:00
업데이트 2011-03-2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0년 정보보호 실태 조사

지난해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1.5명꼴로 해킹 피해를, 3.4명은 바이러스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 이용자의 90.7%가 스마트폰 보안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84.9%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보안 피해도 우려했다.

24일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2010년 정보보호실태 및 정보보호 지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해킹 피해를 본 인터넷 이용자는 14.0%로 집계됐다. 해킹·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등의 연간 피해 횟수는 평균 6.9회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침해는 연간 평균 4.77회로 17.1%가 경험했고, 이 가운데 사업자 관리 소홀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이 전체의 67.3%에 달했다.

그러나 침해사고 피해를 경험한 인터넷 이용자 중 신고한 사용자는 해킹 48.3%, 애드웨어·스파이웨어 22.7%, 웜·바이러스 22.6%에 그쳐 여전히 침해 사고에 대한 인식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보안 침해 사고로 인한 피해 기업도 적지 않았다. 전체 조사 기업의 12.6%가 인터넷 침해 사고를 경험했고, 직원 250명 이상의 기업은 50명 미만의 소기업보다 4~5배 많은 해킹,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피해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보안 피해액도 2009년 대비 26.2%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의 85.5%가 사내 정보보호를 전담하는 조직이 없으며 74.2%가 기업 내 정보보호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국가 정보보호지수는 80.5점으로 전년 73.9점보다 6.6점이 상승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실태조사는 전국 12~59세 인터넷 이용자 5422명에 대한 온라인 조사와 종사자 5인 이상 6529개 기업에 대한 방문 조사로 이뤄졌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3-25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