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촌진흥청, ‘AgTech와 미래 농업’ 주제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촌진흥청, ‘AgTech와 미래 농업’ 주제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입력 2024-11-25 17:10
수정 2024-11-25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를 공동 개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를 공동 개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를 공동 개최했다.

양 기관은 농업의 경제‧정책 분야와 농업과학기술 분야의 정보교류 및 이해증진을 위해 2003년부터 정책연구협의회를 개최했고, 국정과제, 정책지원을 위한 기관 간 역할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올해로 16회째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올해 협의회는 양 기관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이정민 부연구위원과 농촌진흥청의 홍석영 농업위성센터장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이정민 부연구위원은 ‘농업부문 신성장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AgTech 활성화를 위해 ▲AgTech 현장 적용성 확대 ▲산업경쟁력 확보 ▲활성화 기반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석영 센터장은 ‘위성기반 농업관측 현황과 과제’ 발표를 통해 원격탐사 기술 활용 원리, 벼·채소 등 주요 작물의 작황 추정 현황을 소개했으며, 위성영상 기반 작물 분류 및 생육 추정 기술 개선 등 농업 위성을 통한 농업 관측의 향후 과제를 제시했다.

이미지 확대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에서 주제발표하는 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에서 주제발표하는 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발표 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재훈 기획조정실장이 양 기관의 주요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성 실장은 농림위성 자료 활용, 조사체계 개선 등 관측고도화를 위한 협력 방안과 기후위험에 대응한 농식품 수급안정을 위해 필요한 논의에 대해 발표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두봉 원장은 “그동안 두 기관이 다양한 포럼, 세미나, 자문회의를 꾸준히 개최하며 협력을 이어왔다”라며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공동 연구를 강화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를 공동 개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2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대회의실에서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를 공동 개최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과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농촌경제연구원 제공


이어 농촌진흥청 서효원 차장은 “최근 이상기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농작물의 정확한 작황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며 “농업위성을 활용한 정밀관측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협업하며 큰 시너지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