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 0.4% 상승…역대 최저

올해 소비자물가 0.4% 상승…역대 최저

강경민 기자
입력 2019-12-31 09:27
업데이트 2019-12-31 09: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요측 상승압력 낮고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하락 등 영향통계청 “내년엔 올해보다 높을 것…디플레이션은 크게 우려 안 해”

이미지 확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비와 투자, 수출 등의 둔화에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이 낮았고,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컸다.

다만 12월 상승률은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보다 0.4% 상승했다.

이는 통계청이 1965년 소비자물가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전 최저 기록은 2015년의 0.7%다. 당시는 저유가와 경기 부진이 겹친 게 주된 영향이었다.

이외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0.8%)을 포함해 연간 소비자물가가 0%대를 기록한 적은 모두 세 차례다.

연간 지수를 품목성질별로 보면 석유류가 -5.7%를 나타내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 끌어 내렸다.

농·축·수산물도 -1.7%를 기록, 전체 물가를 -0.13%포인트 내리는 효과가 나타났다.

2018년에 각각 6.8%, 3.7% 상승한 석유류와 농·축·수산물이 올해는 크게 낮아졌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수요측 상승압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하락 및 기저효과, 무상교육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로 역대 가장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근원물가도 낮은 수준이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이는 1999년(0.3%)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역시 1999년(-0.2%) 이후 최저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5.1% 떨어졌다. 2014년(-9.3%)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하는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1년 전보다 0.3% 상승했다. 1995년 집계 이래 최저다.

다만 월간 상승률은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모습이다.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사상 첫 마이너스(-)인 -0.4%에서 10월 보합, 11월 0.2%에 이어 이달에는 상승폭을 더욱 키웠다.

12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1999년(0.3%)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기로 구분해 보면 상반기 0.6%, 하반기 0.2%였다.

이두원 과장은 “농·축·수산물이나 석유류 하락의 기저 효과 등이 사라진다면 내년에는 올해보다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디플레이션은 크게 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