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1500억 초대형 유조선 중국서 경매... 자구안 마련에 ‘필사적’

현대중공업 1500억 초대형 유조선 중국서 경매... 자구안 마련에 ‘필사적’

임효진 기자
입력 2016-05-16 10:00
업데이트 2016-05-16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현대중공업 작업장 모습. 현대중공업 제공
현대중공업 작업장 모습. 현대중공업 제공
현대중공업그룹이 1500억원짜리 초대형 유조선(VLCC)을 중국 경매에 부친다. 경영난으로 인한 자금 확보를 위해 동원 가능한 모든 자산을 팔아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그룹 산하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은 이달 말 중국 칭다오해사법원을 통해 31만7800DWT급 유조선 ‘E 엘리펀트’호를 경매할 예정이다.

발주 당시 이 선박 가격이 1억4000만달러(1640억원)이지만 경매를 통해 1500여 억원 정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그룹이 해외에 운항 중인 고객사 선박을 압류해 경매에 부친 것이 이번이 처음인 만큼 내부 경영 상황이 다급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대만 선주사인 TMT사가 선박 가격을 지급하지 못해 칭다오에 있던 배를 최근 압류해 경매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초대형 유조선은 TMT가 현대삼호중공업에 발주해 2011년 인도됐던 선박이다. 그러나 TMT가 건조 대금을 지불하지 못하자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이 지난 3월 칭다오항에 정박 중인 이 유조선을 압류 조치했다.

이번 경매를 통해 초대형 유조선을 팔 경우 자금난에 시달리는 현대중공업그룹에는 가뭄에 단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주채권은행에 자구계획을 제출해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야하는 상황이다. 구조조정의 핵심은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이다.

지난해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이 현대자동차 주식을 매각해 8000여억원을 확보했고 자회사 현대오일뱅크 상장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독일 아반시스사와 충북 오창에 설립한 태양광모듈 합작법인 현대아반시스의 보유 지분 50%를 중국 국영 건축자재업체 CNBM에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보유한 금융사 지분을 파는 방안도 제기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현재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해 현대중공업까지 대형 조선사들이 구조조정 소용돌이에 있어 돈 되는 건 다 파는 분위기”라며 “배까지 압류해 경매 조치하는 것도 그 일환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