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김과장’ 그게 뭐죠”… 발바닥 불 나는 금융위 과장들

[경제 블로그] “‘김과장’ 그게 뭐죠”… 발바닥 불 나는 금융위 과장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5-04-06 00:22
업데이트 2015-04-06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금융위원회 과장들이 ‘죽을 맛’이라고 합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내린 ‘특명’ 때문이라네요.

임 위원장이 내린 첫 번째 특명은 ‘브리핑 많이 하기’입니다. 실무를 직접 맡고 있는 과장들이 언론 브리핑을 자주 해야 실력을 키울 수 있다는 지론에서이지요. 통상은 국장급 이상 고위 간부들이 브리핑을 맡는데 임 위원장은 “과장들이 현안이나 정책에 대해 직접 설명하고 질의응답도 해 봐야 내공이 쌓인다”며 이런 지시를 내렸다고 합니다.

1차 안심전환대출이 출시됐을 때 ‘2금융권 대출자들에게도 혜택을 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지자 모 과장이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가 혼쭐이 난 사례는 ‘훈련’의 필요성을 입증합니다. 혼선이 커지자 결국 그날 임 위원장이 직접 나서 “추가 확대 계획은 없다”고 무마해야 했습니다. 한 금융위 간부는 “기자들의 질문에 말이 꼬인 것 같다”며 담당 과장을 감싸기도 했습니다.

두 번째 특명은 ‘회의 주재 자주 하기’입니다. 회의를 자주 이끌다 보면 다른 기관 간 협업을 이끌어낼 때 도움이 된다는 이유에서입니다. 특히 금융감독원과의 소통을 무척 강조합니다. ‘금감원 어느 국과 어떤 주제로 실무협의를 했고 그 결과가 무엇인지’ 보고도 해야 한다고 하네요.

세 번째는 ‘현장 방문’입니다. 어떤 현장을 점검해 어떤 건의사항을 들었는지 등도 보고해야 합니다. ‘민심’을 알아야 소비자 보호나 불합리한 규제 폐지 등 ‘살아 숨쉬는 정책’을 만들 수 있으니까요. 요즘 관가에 ‘김 과장’(출장 핑계대고 사라지는 공무원)이 유행이라지만 금융위에서는 딴 세상 얘기입니다. 금융위 과장들은 브리핑에, 회의 주재에, 현장 방문에, 보고서 작성에,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하다고 아우성입니다. 그렇다고 대놓고 싫은 기색을 할 수도 없습니다. 현장을 익히고 실력을 키우자는데 마다할 수는 없으니까요. 다만 시작은 ‘위에서부터’였으되 실천은 ‘아래로부터’이기를 바라 봅니다. 그래야 바빠진 과장들만큼이나 금융개혁도 빨라지지 않겠습니까.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04-06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