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고 쓰러지고’…노인일자리사업 사고 4년간 2.2배↑

‘다치고 쓰러지고’…노인일자리사업 사고 4년간 2.2배↑

입력 2014-10-23 00:00
업데이트 2014-10-23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가 최근 4년간 2.2배 늘어난 것으로 23일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새누리당)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노인 일자리 참여 중 다치거나 쓰러진 사람은 2010년 88명에서 2012년 134명, 2013년 191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사망 사건은 4년간 9건이다.

사고 유형은 2013년 기준으로 타박상(69건)이 가장 많았고 골절(56건), 교통사고·병충해 감염(49건) 순이었다.

사업 유형별로는 학교 앞 교통안전 지도 등 공익형 일자리 사업 중 사고가 난 경우가 12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독거노인 돌봄 등 복지형 사업이나 지하철 택배 등 시장형 사업 과정에서도 각각 38건, 18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노인일자리 사업 도중 발생한 사고 191건 가운데 148건은 산재보험을 적용받았지만, 나머지는 산재보험 조차 적용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정부가 국민이 낸 세금으로 국민의 노후행복을 위해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한다면서 정작 사고가 발생하자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그는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안전관리 점검을 강화하고 출퇴근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해서도 산재보험이 적용될 수 있도록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