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점 5만원’ 활어 참다랑어 2년 뒤 식탁에

‘한 점 5만원’ 활어 참다랑어 2년 뒤 식탁에

입력 2014-07-22 00:00
업데이트 2014-07-22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수부, 새끼 2만 마리 추가 분양

회 한 점에 5만원을 주어야 먹을 수 있는 활어 참다랑어가 2년 뒤부터 우리 식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참다랑어는 먼바다에서 잡는 즉시 냉동 상태로 보관하다 들어오기 때문에 살아 있는 활어회로 먹기가 어려운 최고급 어종이다. 국내에 살아 있는 참다랑어는 양식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키우고 있는 339마리가 전부다.

참다랑어 양식이 어려운 것은 수정란 확보가 어렵고 인공부화율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참다랑어 수정란을 확보하지 못하고 지중해 몰타 근해에서 수정란을 채취해 들여온다. 그러나 이송 과정에서 절반 정도가 죽어 생존율은 50%밖에 안 된다.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몰타에서 수정란 976만개를 채취해 수송에 나섰지만 살아남은 개체는 509만개로 50% 정도에 그쳤다.

더 어려운 것은 부화 기술로 수정란에서 부화까지 성공한 개체는 5만개로 부화율이 1%에 불과하다. 참다랑어 인공부화에 성공한 나라는 일본(1979), 호주(2009), 스페인(2010), 한국(2011)뿐이다.

해양수산부는 몰타에서 들여온 수정란을 부화시킨 새끼 참다랑어 5000마리를 지난해 무상 분양한 데 이어 올해 2만 마리를 추가로 분양한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분양한 종자는 제주도 해역 시험 양식장과 국립수산과학원 미래양식연구센터, 남서해수산연구소 등에서 키우고 있다. 해수부는 이 중 어미 참다랑어(30~60kg) 114마리를 상대로 산란을 유도한 뒤 내년쯤 국산 수정란을 확보, 인공부화에 나설 계획이다. 어린 참다랑어는 1년에 5~10㎏씩 크기 시작해 3년 정도 키우면 상품성이 있는 30~40㎏까지 자란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07-2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