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연이은 금융사고 개탄…신뢰회복 총력”

금감원장 “연이은 금융사고 개탄…신뢰회복 총력”

입력 2014-04-14 00:00
업데이트 2014-04-14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14일 최근 연이은 금융사고에 따른 금융 신뢰 추락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이미지 확대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9일 국회 정무위에 나와 신용정보 유출 사태를 비롯한 현안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9일 국회 정무위에 나와 신용정보 유출 사태를 비롯한 현안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최 원장은 이날 오전 임원 회의에서 “최근 크고 작은 금융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금융산업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진 데 대해 매우 개탄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KT ENS 협력업체의 매출채권 대출사기와 시중은행의 도쿄지점 부당 대출 및 일부 은행 영업점 직원의 횡령사고 의혹 등의 금융사고를 겨냥한 것이다.

그는 “이는 금융회사 임직원들이 금융의 기본을 망각한 채 무사안일한 조직문화에 안주해 온 데다 불량한 내부통제 및 임직원의 금융윤리 결여도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영진은 기존의 그릇된 조직문화와 업무방식을 청산해야 한다는 비장한 각오로 사태 해결 및 예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감원도 그동안 감독·검사과정에서 허점이 없었는지 겸허히 반성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금융의 기본질서를 바로 세우고 국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금감원의 인허가 업무처리에도 과도한 시일이 소요되지 않도록 하고, 처리 결과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등 인허가 프로세스의 획기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원장은 “또 최근 불법유출된 개인정보를 악용한 보이스피싱, 파밍 등 금융사기 피해 우려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국민에게 더욱 쉽게 전달될 수 있는 체계적인 금융사기 피해예방 홍보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