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출신’ 상장사 CEO 소폭 줄어

‘SKY출신’ 상장사 CEO 소폭 줄어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5.8%… 평균연령은 57.4세

상장기업 대표이사 가운데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SKY’ 출신의 비중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상장회사협의회가 발표한 ‘2011년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경영인 현황 분석’에 따르면 상장사 대표이사로 SKY 출신 비중은 45.8%로 지난해 46.7%보다 0.9% 포인트 줄었다. 2005년만 해도 SKY 출신 상장사 대표이사는 47.3%였다.

서울대 출신이 218명(23.1%)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가 111명(11.7%), 연세대가 104명(11.0%)으로 그 뒤를 이었다. 임원 전체로 보면 SKY 출신 비중은 34.3%로 지난해 32.7%보다 증가했다. 그러나 2005년 40%에 비하면 눈에 띄게 줄었다. 대표이사들의 평균연령은 57.4세로 지난해보다 0.1세 높아졌다. 최고령자는 유홍우 유성기업 회장으로 89세였으며 최연소자는 양홍석 대신증권 부사장으로 30세였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의회는 올해 상장사 대표이사의 전형을 ‘김씨 성을 가진 서울 출신 50대 남성으로 서울대 상경계열을 졸업했으며 취미는 골프, 종교는 기독교인 서울 강남구 주민’으로 묘사했다.

상장사 임원의 전형도 대표이사의 경우와 같았으나 서울대 이공계열 출신이라는 점만 달랐다. 상장사 임원 수는 1만 4901명으로 한 기업당 평균 20.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의 19.9명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5대그룹 중에서도 삼성그룹 임원이 168명으로 10.1%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삼성전자 임원은 85명으로 9.5% 증가했다. 자동차, 기계, IT, 화학 등 지난해 실적이 좋은 업종은 임원들이 늘어난 반면 건설업은 임원 수가 1030명으로 119명 감소했다.

코스닥협회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임원은 8701명으로 기업당 평균 8.5명이었다. 지난해 8461명(평균 8.4명)보다 약간 늘어났다. 출신 대학별로는 서울대(19.7%), 연세대(8.8%), 고려대(8.6%) 순으로 많았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07-20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