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4%대 고공행진…27개월來 최고

물가 4%대 고공행진…27개월來 최고

입력 2011-03-02 00:00
업데이트 2011-03-02 0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유류 12.8%↑..정부 “국제유가 예의주시”

2월 소비자물가가 국제유가 급등과 이상한파 등의 영향으로 2개월 연속 4%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27개월 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중동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유가 급등으로 석유류 가격은 12.8%나 상승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5% 상승하고 전월 대비로는 0.8%가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08년 11월의 4.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월 2.7% 이후 8월까지 2%대를 유지하다가 그 해 9월 3.6%, 10월 4.1%, 11월 3.3%, 12월 3.5%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 1월에는 4.1%를 기록해 4% 선도 뛰어넘었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5.2%, 전월대비 0.8% 올랐다.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국제유가 급등의 충격이 예상보다 컸다”면서도 “농축산물 가격상승 압력은 기온이 점차 오르면서 일정부분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며 다른 부문 가격들도 2분기에는 안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윤 국장은 “그러나 중동의 정세불안으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5.2% 올라 2008년 9월(5.5%)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에 비해서는 0.9% 상승했다.

생선ㆍ채소ㆍ과실류 등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5.2%가 올라 작년 6월 이후 9개월 연속 두자릿수 상승세를 보였다. 전달보다는 0.8%가 올랐다.

농산물ㆍ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1% 올라 2009년 8월(3.1%)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근원물가는 전월에 비해서도 0.7% 올랐다.

부문별로 작년 동월 대비 증가 폭을 살펴보면 농산물(21.8%)과 축산물(12.3%), 수산물(11.4%)의 가격이 크게 올라 농축수산물이 17.7% 올랐고, 공업제품도 석유류(12.8%)의 가파른 상승세에 따라 5.0%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2.5%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가 1.2%, 개인서비스와 집세가 각각 3.0%, 2.7%의 상승률을 보였다. 개인 서비스 중 외식 물가는 3.5% 올랐다.

소비자 물가 기여도(작년 동월비)는 공업제품이 1.56%포인트로 가장 높았고, 농축수산물 1.55%포인트, 서비스 1.48%포인트였다.

작년 동월 대비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 중에서 배추(94.6%), 파(89.7%), 마늘(78.1%), 고등어(44.6%), 돼지고기(35.1%)의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풋고추(-22.2%)와 국산 쇠고기(-8.5%)는 하락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19.9% 올랐고, 국제 유가 급등의 영향을 받아 등유(19.3%), 경유(14.6%), 휘발유(11.1%)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전세(3.1%)와 월세(1.9%)도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세 상승률은 2004년 2월(3.3%) 이후 7년만에 가장 높았다.

개인 서비스 중에서는 외식 삼겹살(11.3%), 외식 돼지갈비(11.1%), 유치원 납입금(6.0%), 미용료(5.2%)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학교급식비는 3.5% 하락했다.

연 합 뉴 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