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친박, ‘폐족’ 넘어 ‘멸족’ 위기감…탄핵 폭풍에 휩쓸리나

친박, ‘폐족’ 넘어 ‘멸족’ 위기감…탄핵 폭풍에 휩쓸리나

입력 2016-12-06 11:03
업데이트 2016-12-06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핵후 與주류 당 주도권 지키나, ‘각자도생’ 이냐 “탄핵 표결 후 당 지도부 사퇴 철회할 것”

야권이 주도하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표결에 새누리당 비주류가 대거 찬성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친박(친박근혜)계 주류가 궁지에 몰린 형국이다.

나아가 주류 내부에서조차 탄핵 반대파로 낙인 찍힐 경우 정치생명이 끝날 수 있다는 위기감에 이탈기류가 감지되고 있어 당 지도부와 친박계 핵심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더욱이 친박계 중진과 지도부가 초선 의원들과 중립 성향의 의원들을 상대로 탄핵 반대를 설득하려 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강해지는 촛불민심에 흔들리면서 가결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주류 측이 탄핵 반대 세력으로 몰리면서 과거 노무현 대통령 퇴임 후 친노(친노무현)계를 향해 한때 딱지가 붙었던 표현인 ‘폐족’(廢族)의 수준을 넘어 ‘멸족’(滅族)을 당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또 상황에 따라서는 탄핵 표결 과정에서 표면화된 찬반 입장에 따라 친박이 분화(分化)할 수도 있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이념과 가치를 중심으로 뭉친 ‘친노’ 그룹과는 달리 ‘친박’ 그룹은 2007년 대선 경선 당시부터 ‘박근혜’라는 정치인과 그 권력을 중심으로 뭉친 정치 그룹이라는 점에서 박 대통령이 탄핵을 당해 정치무대에서 사라질 경우 정치세력으로서 단일한 ‘친박’ 그룹은 존재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이다.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이후에는 ‘친노’ 그룹의 경우 탄핵 역풍 여론에 힘입어 정치적 세력을 확장했지만, 친박은 이번 탄핵을 거치며 정반대의 길을 걸어갈 것이라는 비교 예측도 있다.

탄핵 이후 그동안 친박이라는 하나의 울타리에 묶여 있는 정치인들이 궁극적으로 ‘각자도생’의 길을 갈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는 까닭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감 때문에 탄핵 이후 주류가 오히려 강경하게 결속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동안 탄핵 대신 이른바 ‘질서 있는 퇴진’의 관철을 위해 병행했던 비주류 설득의 필요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주류 측은 최근들어 “오히려 분당이 낫다”는 정서가 강해지고 있다.

한 친박계 재선 의원은 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비주류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타협하면서 낮은 자세를 취했지만 일단 탄핵이 되면 눈치 볼 필요가 없어진다”면서 “우리 나름대로 방향을 갖고 당을 살리는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당 화합을 위해 지도부 사퇴까지 제안하며 양보했지만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탄핵 이후 비주류가 오히려 정치적으로 고립되면서 주류가 활동할 공간이 넓어질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주류나 비주류가 보수라는 이념에 큰 차별성은 없으면서 박 대통령과의 거리 차이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비주류는 탄핵으로 인해 전통 지지층으로부터 외면받을 수 밖에 없고 그렇다고 야당과도 연대하기도 어렵다는게 친박계의 시각이다.

정치권에서는 탄핵 표결이 이뤄지고 나면 대선 정국으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보수 대 진보의 간명한 진영대결이 벌어져 오히려 중간지대는 사라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실제 당내 비주류들은 탄핵이 거론되기 시작했던 초기에 집단 탈당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왔지만, 아직 남경필 경기지사와 김용태 의원 외 현직에서는 후속 움직임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탄핵 이후 비주류가 탈당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당 주도권을 지키려는 친박계 주류와 강하게 충돌하면서 파열음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