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대 권력기관장 영·호남 全無…지역안배 없어

4대 권력기관장 영·호남 全無…지역안배 없어

입력 2013-03-15 00:00
업데이트 2013-03-15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3명·대전 1명, 전문성 중시…”대탕평 위한 호남출신 발탁” 관측 무산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검찰총장과 국세청장, 경찰청장을 내정하면서 국정원장을 포함한 ‘4대 권력기관장’ 인선이 마무리됐다.

◇ ‘호남 중용’ 설(說)로 끝나…영남 전무도 특이 = 이명박 정부 시절 호남 출신이 권력기관장 인선에서 소외됐다는 지적이 많았고,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이 대선 기간 호남 표심을 겨냥해 ‘인사 대탕평’을 강조하면서 호남 출신 인사의 중용 여부에 시선이 모아졌다.

그러나 인선 결과 전 정부에서 중용됐던 영남 출신은 한 명도 발탁되지 못했고 호남 출신 역시 전무했다. 영ㆍ호남 공히 제외된 것이다. 반면 서울이 3명, 대전이 1명을 차지했다.

남재준 국정원장 내정자는 서울 출신이다. 채동욱 검찰총장 내정자와 이성한 경찰청장 내정자 역시 서울 출신이다. 김덕중 국세청장 내정자의 출신 지역은 대전이다.

특히 검찰총장 인선의 경우, 채 내정자와 소병철(사법연수원 15기ㆍ전남) 대구고검장이 ‘2파전’을 벌여 호남 검찰총장의 기대감도 나왔지만 결국 무산됐다.

이를 놓고 지역안배 보다는 박 대통령이 중시하는 전문성에 방점이 찍혔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나 애초 박 대통령이 선거 기간 호남 민심을 겨냥해 ‘대통합과 대탕평’을 강조했고, 당선 이후 ‘호남 총리론’까지 부상했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이번 인선은 대탕평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어서 실망스럽다는 평가도 없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도 이런 시각에 신경을 쓰는 분위기다. 윤창중 대변인은 ‘지역안배’ 관련 질문에 “채 내정자는 서울 출생으로 돼 있지만 아버지가 5대 종손이시고, 선산이 전북 군산시 옥구군 임실면에 있다고 한다”면서 “매년 선산을 다니면서 그 지역 사람으로 알려졌다, 이런 얘기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는 무리한 해석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 막판에 뒤집히기도 = 경찰청장에는 김기용 현 청장의 유임이 유력시됐다. 박 대통령이 경찰청장 임기 보장을 공언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경찰청장 교체는 최근 언론을 장식한 학교폭력 등 ‘4대 사회악’ 논란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전날 경찰대 졸업식에서 “4대 사회악인 성폭력, 학교폭력, 가정파괴범, 불량식품을 반드시 뿌리뽑겠다”면서 “경찰이 척결에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최근 ‘4대 사회악’ 사건이 빈발하면서 민심이 술렁인 만큼, 임기 보장보다는 경찰의 분위기를 쇄신하고 새로운 각오로 출발하기 위해 막판에 청장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다는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국세청장의 경우, 조현관 서울지방국세청장이 한 발짝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지만 결국 김덕중 중부지방국세청장이 청장 자리에 올랐다.

청와대 주변에서는 조 서울국세청장과 이현동 전 국세청장과의 관계를 눈여겨본 것으로 알려졌다.

나란히 경북고와 영남대를 나온 두 사람에 대해 “선후배다”, “누구 라인이다”라는 말들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래서 잡음이 이는 걸 원치 않은 박 대통령이 조현관 카드를 접은게 아니냐는 것이다.

채동욱 검찰총장 내정자는 ‘특수통’이라는 전문성과 리더십이 뛰어나다는 장점 때문에 일찌감치 인선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언론이 ‘대탕평’ 차원에서 호남 출신 발탁 가능성을 점치자 채 내정자측에서 “선산이 호남에 있다”는 점을 알리면서 ‘범(凡)호남 인사’임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채 내정자가 선산이 전북에 있다고 브리핑해도 좋다고 이야기했다”면서 “이 점도 인선에 많이 고려가 됐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