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구부러진 삶 올곧게 끊어진 삶 토닥토닥

구부러진 삶 올곧게 끊어진 삶 토닥토닥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3-06-02 00:52
업데이트 2023-06-0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눈부신 안부/백수린 지음/문학동네/316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등단 12년차에 첫 장편소설 ‘눈부신 안부’를 낸 백수린 작가는 어린 시절 상처를 그대로 안고 성인이 된 해미가 과거의 숙제를 풀면서 치유되는 과정을 다정한 문체로 그리며 작품을 완성했다. 문학동네 제공
등단 12년차에 첫 장편소설 ‘눈부신 안부’를 낸 백수린 작가는 어린 시절 상처를 그대로 안고 성인이 된 해미가 과거의 숙제를 풀면서 치유되는 과정을 다정한 문체로 그리며 작품을 완성했다.
문학동네 제공
삶은 올곧은 직선이 아니다. 살다 보면 선이 구부러지거나 끊길 수 있다. 어린 시절 잘 긋지 못했던 선을 어른이 돼 다시 펴고 잇는 일은 쉽지 않다. 어두운 터널로 들어가 자신과 마주하는 일에는 용기와 노력이 필요하다. 소설은 그런 상처를 안고 어른이 된 해미가 과거의 숙제를 해결하며 치유해 가는 과정을 그렸다.

해미는 1994년 도시가스 폭발 사고로 친언니를 한순간에 잃었다. 열세 살에 불과했지만, 해미는 엄마아빠를 안심시키고 동생의 응석을 받아 주며 혼자서 슬픔을 삼켜 낸다. 그럼에도 상처는 잘 봉합하지 않았고, 아빠와 별거하기로 결정한 엄마를 따라 해미는 동생과 함께 행자 이모가 있는 독일 G시로 이주한다.

말이 통하지 않아 이방인처럼 겉돌던 해미에게 따뜻한 손을 내민 건 행자 이모였다. 그는 집안을 위해 젊었을 적 독일에 온 파독 간호사로, 마리아와 선자 등 다른 파독 간호사들과 씩씩하게 살고 있다. 행자 이모를 비롯한 다른 이들의 보살핌 속에서 안도감을 느낀 것도 잠시, 한국에 외환위기가 닥친 1997년 해미는 또 한 번 커다란 상실을 겪은 채 한국으로 돌아온다.
이미지 확대
소설은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됐지만 여전히 유년의 비극에 붙들려 있는 해미의 과거와 현재를 오간다. 이 과정에서 해미의 아픔과 좌절, 망설임을 다정한 문체로 풀어낸다.

사실 해미에게는 두 번의 밝음이 있었다. 첫 번째가 마리아의 딸 레나와 선자의 아들 한수를 사귀면서다. 한수가 해미와 레나에게 뇌종양에 걸린 엄마의 첫사랑이던 ‘K.H’를 찾아 달라고 부탁하면서 우정은 더 끈끈해진다. 두 번째는 사진전에서 대학 동창 우재와 우연히 만났을 때다. 대학 시절 미묘한 연애 감정을 주고받기도 했던 우재가 해미의 마음을 열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가온다.

우재 앞에서 망설이던 해미는 어린 시절 해결하지 못했던 K.H 찾기에 나서는데, 이는 당연한 일이었을 터다. 오랫동안 고스란히 묻어 두었던 상처를 들춰 보고 이를 제대로 해결한다면 앞으로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테니까.

데뷔 이후 12년 만에 첫 장편을 낸 작가는 “파독 간호사에 대한 어떤 일화를 듣고 첫 장편소설을 마침내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다른 사람이 아닌 나만 쓸 수 있는 이야기가 분명히 있을 것 같다는 예감에 가슴이 뛰었다”고 설명했다.

해미의 과거를 치유하는 과정이 따뜻하다. 어린 해미에게 “혼자 짊어지려고 하면 안 돼. 아무리 네가 의젓하고 씩씩한 아이라도 세상에 혼자 감당해야 하는 슬픔 같은 건 없으니까”(25쪽)라고 말한 행자 이모가 특히 그렇다. 좀처럼 마음을 열지 못하는 어른이 된 해미에게는 이렇게 말한다. “네가 찬란히 살았으면 좋겠어. 삶은 누구에게나 한 번뿐이고 아까운 거니까.”(227쪽)

해미가 자신을 고립시킨 터널에서 나와 밝고 따스한 빛을 바라보는 과정에 저절로 박수를 보내게 된다. 혼자의 노력이 아니라, 타인에게 손 내미는 일이 삶을 구원할 수 있다는 메시지가 그대로 서려 있어서다.

선자 이모가 편지에 쓴 “다정한 마음이 몇 번이고 우리를 구원할 테니까”라는 말처럼, 혼자서의 노력과 용기도 필요하지만 어쩌면 타인을 향한 애정과 사랑, 작은 ‘안부’를 건네는 일도 필요해 보인다.
김기중 기자
2023-06-02 1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